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일회용품 사용과 퇴출

"플라스틱 쓰레기 하이브만 연간 894.6t"…기획사 쓰레기 6년간 14배로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CD와 포토카드, 캔버스, 포장비닐까지 음반을 만들 때 들어가는 플라스틱이 최근 6년간 14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폐기물부담금 부과 대상인 국내 기획사가 앨범 제작에 사용한 플라스틱은 2017년 55.8t(톤)에서 2018년 145.4t, 2019년 136.1t, 2020년 225.2t, 2021년 479.0t, 지난해 801.5t으로 꾸준히 많아졌습니다.

앨범 판매량을 고려하면 실제 사용된 플라스틱은 환경부 집계보다 많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써클차트에 따르면 지난해 판매된 앨범은 7천419만5천554장에 달합니다.

CD 한 장 무게가 18.8g이므로 CD에 사용된 플라스틱만 따져도 1천394.9t입니다.

국내 최대 가요 기획사인 하이브가 올해 7월 발표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하이브가 제품을 만들고 포장하는 데 쓴 플라스틱만 894.6t에 달합니다.

폐기물부담금과 재활용분담금 납부액도 빠르게 늘었습니다.

폐기물부담금은 재활용이 어렵고 폐기물 관리 측면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제품·재료·용기를 제조·수입하는 업체에 재활용분담금은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의무를 달성하지 못한 업체에 부과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폐기물부담금은 2021년 1억81만 원에서 작년 1억9천141만 원으로, 재활용분담금은 2018년 600만8천 원에서 2021년 4천141만8천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환경부는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K팝 플라스틱'에 대한 대책을 별도로 준비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환경부는 앨범 과대포장을 방지하고 부과금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계획이 있냐는 우 의원실 질의에 "플라스틱 제품 및 재활용이 어려운 제품군을 포괄적으로 규제할 뿐 별도로 개선을 논의한 바 없다"라고 답변했습니다.

정명원 기자 cooldude@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