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검찰과 법무부

[단독] 檢, “최재경 음성 아닌 것 알아 보도 안했다” 정천수 열공TV 대표 발언 주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청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선 개입 여론 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최재경(전 대검 중수부장) 녹취록’ 존재를 전해들었지만 최 전 중수부장 음성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 보도하지 않았다”는 정천수 열린공감TV 대표 발언에 주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열린공감TV는 진보 성향의 유튜브 매체다. 검찰은 정 대표의 주장이 사실일 경우 녹취록을 자신의 매체 리포액트를 통해 보도한 허재현 기자가 조작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허 기자는 그러나 “정 대표를 허위 사실 유포 혐의로 고소하겠다”고 반박했다.

16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정 대표는 최근 자신의 매체에서 “대선 전인 2022년 2월 초 허 기자로부터 녹취록이 있다고 직접 들은 당사자 중 한 명”이라며 “열린공감TV에서 보도했으면 하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허 기자가) 최 전 중수부장 녹취라고 주장했으나 본인 음성이 아니라는 걸 알게 돼 내가 ‘데스크’(기사 편집 및 보도 여부를 결정하는 언론사 간부) 역할을 하는 열린공감TV에선 보도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정 대표는 서울신문과 통화에서 “당시 허 기자한테 녹취록 진위를 물으니 (다른 사람이 음성을) 재연한 파일이라고 했던 걸로 기억한다”며 “어찌 됐든 원본이 아니라고 해서 보도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당시 허 기자는 열린공감TV 객원기자로 활동했으며, 같은 해 3월 1일 리포액트를 통해 녹취록을 보도했다. 검찰은 녹취록에 등장하는 최 전 중수부장이 실제로는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보좌관 최모씨인 걸로 파악하고, 지난 11일 허 기자 등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정 대표는 또 열린공감TV에서 “허 기자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로부터 자료를 받은 걸로 추정하는데, 현재 허 기자는 극구 부인한다고 한다. 나랑 당시 이야기한 것과 다소 차이가 있고, 개인적으로 당황스럽다”고 밝혔다.

검찰도 정 대표의 이런 발언을 유심히 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사건과 관련한 정황이나 단서는 전반적으로 모두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녹취록이 단순 오보가 아닌 조직적인 조작이 이뤄진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허 기자는 정 대표의 발언 진위를 묻는 서울신문 질의에 “(당시) 정 대표에게 전화한 건 맞지만 (녹취록이 아닌) 다른 내용이었다”며 “정 대표가 기억을 만들어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허 기자는 앞서 페이스북 등을 통해 “자세한 취재 경위를 밝힐 순 없지만 철저한 검증을 거쳐 보도했고, 최 전 중수부장 등에게 보도 전 여러 차례 확인 요청을 했다”며 “민주당과 공모해 여론을 조작하려 했다는 것은 터무니없는 음해 공작”이라고 주장했다.

임주형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