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사람이 좀 모이는 곳이다 싶으면 꼭 보이는게 있습니다. 바로 일회용컵 입니다. 한 사람이 버리기 시작하면 너도나도 따라 버려 높게 쌓이고 거리에 나뒹굴기까지 합니다.
일회용 컵으로 뒤덮인 거리를 밀착카메라 이희령 기자가 보여드립니다.
[기자]
이곳은 홍대 번화가 골목입니다. 골목 한 쪽엔 일회용 플라스틱 컵들이 줄줄이 놓여 있습니다. 이곳이 카페도 아니고, 문을 닫은 가게인데 버리고 간 겁니다. 다른 곳들은 어떤지 직접 살펴보겠습니다.
거리 한복판입니다.
골목 구석구석 없는 곳이 없습니다.
어떻게 올려놨지 할 정도로 높은 곳에도 있습니다.
[제시카/독일 관광객 : 어제도 봤고, 여기랑 서울 다른 곳에서도 많이 봤어요. 문제죠.]
컵 안엔 담배꽁초까지 들었습니다.
[일회용 컵 버리고 간 시민 : {방금 컵 같은 거 두신 것 같아서.} (다른 컵이) 이미 있길래. {원래 그게 맞잖아요, 쓰레기통에 버리시는 게.} 쓰레기통이 많이 없기도 하고. {멀어도 가지고 가야 하는 것 아니냐고 했을 땐} {선생님께선 설명해주실 말씀이 있으실까요.} 정론이라서 할 말은 없죠.]
쓰레기통 위에도 음료가 담긴 일회용 컵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먹다 남은 음료를 쓰레기통 안에 버리지 않고 위에 쌓아두고 가버리는 경우가 많아서요. 위가 평평한 쓰레기통 대신 둥근 쓰레기통도 새로 만들었습니다.
[청소노동자 : 먹다가 남은 걸 놓고 가는 거니까. 자기도 지저분한 걸 버리기 싫다는 소리지. 또 우리가 안 볼 때만 놓고 가.]
또 다른 쓰레기통은 일회용 컵 진열대가 돼 버렸습니다.
[이인철/서울 서교동 : 지저분하잖아. 이 안에 넣으면 되는데, 안 넣어. 여기다 놓고 그냥 간다니까.]
최근 어느 가게 앞엔 갑자기 쓰레기 더미가 생겼습니다.
[김시현/호미화방 직원 : 오자마자 놀랐죠. 되게 놀라서, 이걸 어떻게 치워야 하나. (음료 컵 안에) 레몬 이런 게 썩어 있더라고요.]
경고문을 붙여두고 매일 수시로 치워도 소용없습니다.
[김시현/호미화방 직원 : 도미노 현상이라고 해야 하나. 한 사람이 여기다 쓰레기를 버리면 여기다 버려도 되겠거니. 그걸 하나씩 하나씩 분리수거를 해야 하니까 고충이 좀 있죠.]
'쓰레기는 쓰레기통에'라는 아주 기본적인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 겁니다.
쓰레기통 숫자를 늘릴 필요도 있습니다.
[지나/독일 관광객 : 독일에는 쓰레기통이 더 많아요. 50~100m당 하나씩 있는 것 같아요. 서울에선 거리를 걸으면서 쓰레기통을 찾아다녀야 했어요.]
하나둘 버려지기 시작한 일회용 컵은 다른 쓰레기들과 함께 금세 이곳을 뒤덮습니다. 거리는 쓰레기통도, 일회용 컵 진열장도 아닙니다.
[작가 유승민 / VJ 김원섭]
이희령 기자 , 정상원, 김영선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사람이 좀 모이는 곳이다 싶으면 꼭 보이는게 있습니다. 바로 일회용컵 입니다. 한 사람이 버리기 시작하면 너도나도 따라 버려 높게 쌓이고 거리에 나뒹굴기까지 합니다.
일회용 컵으로 뒤덮인 거리를 밀착카메라 이희령 기자가 보여드립니다.
[기자]
이곳은 홍대 번화가 골목입니다. 골목 한 쪽엔 일회용 플라스틱 컵들이 줄줄이 놓여 있습니다. 이곳이 카페도 아니고, 문을 닫은 가게인데 버리고 간 겁니다. 다른 곳들은 어떤지 직접 살펴보겠습니다.
거리 한복판입니다.
일회용 컵이 나뒹굽니다.
골목 구석구석 없는 곳이 없습니다.
어떻게 올려놨지 할 정도로 높은 곳에도 있습니다.
[제시카/독일 관광객 : 어제도 봤고, 여기랑 서울 다른 곳에서도 많이 봤어요. 문제죠.]
사람 많은 거리 옆엔 인적이 드문 공간이 나옵니다. 한 번 들어가 보면, 이렇게 일회용 컵들이 그대로 버려져 있습니다. 사람의 눈을 피해 여기에 두고 간 겁니다.
컵 안엔 담배꽁초까지 들었습니다.
[일회용 컵 버리고 간 시민 : {방금 컵 같은 거 두신 것 같아서.} (다른 컵이) 이미 있길래. {원래 그게 맞잖아요, 쓰레기통에 버리시는 게.} 쓰레기통이 많이 없기도 하고. {멀어도 가지고 가야 하는 것 아니냐고 했을 땐} {선생님께선 설명해주실 말씀이 있으실까요.} 정론이라서 할 말은 없죠.]
쓰레기통 위에도 음료가 담긴 일회용 컵이 있습니다.
한 시간 뒤에 다시 가보니 그 새 훨씬 많아졌습니다.
사람들이 먹다 남은 음료를 쓰레기통 안에 버리지 않고 위에 쌓아두고 가버리는 경우가 많아서요. 위가 평평한 쓰레기통 대신 둥근 쓰레기통도 새로 만들었습니다.
[청소노동자 : 먹다가 남은 걸 놓고 가는 거니까. 자기도 지저분한 걸 버리기 싫다는 소리지. 또 우리가 안 볼 때만 놓고 가.]
또 다른 쓰레기통은 일회용 컵 진열대가 돼 버렸습니다.
평소 고철을 모으는 한 시민은 보다 못해 매일 컵을 정리합니다.
[이인철/서울 서교동 : 지저분하잖아. 이 안에 넣으면 되는데, 안 넣어. 여기다 놓고 그냥 간다니까.]
최근 어느 가게 앞엔 갑자기 쓰레기 더미가 생겼습니다.
[김시현/호미화방 직원 : 오자마자 놀랐죠. 되게 놀라서, 이걸 어떻게 치워야 하나. (음료 컵 안에) 레몬 이런 게 썩어 있더라고요.]
경고문을 붙여두고 매일 수시로 치워도 소용없습니다.
[김시현/호미화방 직원 : 도미노 현상이라고 해야 하나. 한 사람이 여기다 쓰레기를 버리면 여기다 버려도 되겠거니. 그걸 하나씩 하나씩 분리수거를 해야 하니까 고충이 좀 있죠.]
'쓰레기는 쓰레기통에'라는 아주 기본적인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 겁니다.
쓰레기통 숫자를 늘릴 필요도 있습니다.
[지나/독일 관광객 : 독일에는 쓰레기통이 더 많아요. 50~100m당 하나씩 있는 것 같아요. 서울에선 거리를 걸으면서 쓰레기통을 찾아다녀야 했어요.]
하나둘 버려지기 시작한 일회용 컵은 다른 쓰레기들과 함께 금세 이곳을 뒤덮습니다. 거리는 쓰레기통도, 일회용 컵 진열장도 아닙니다.
[작가 유승민 / VJ 김원섭]
이희령 기자 , 정상원, 김영선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