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대학교수가 사교육업체 임원으로 재직…겸직 근무 개선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일부 대학교수가 사교육 업체의 임원으로 재직해 대학과 학원 간 유착이 의심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수는 오늘(4일) 오후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8 대입 개편' 관련 세미나에서, "사교육 업체 임원으로 재직하는 교수들이 있다"며 '사외이사 카르텔'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양 교수는 모 대학 교육공학과 교수와 한 교대 부총장이 사교육업체 사외이사 임원으로 재직 중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 외 다른 대학 세 곳의 교수 세 명도 각각 다른 사교육 업체의 사외이사 임원으로 이름을 올린 걸로 알려졌습니다.

양 교수는 "사교육과 교수의 연결고리를 차단하기 위해 상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대학 교수가 사교육 업체에서 사외이사나 임원으로 겸직 근무하는 현상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울러 양 교수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검토 위원에 서울대, 고려대, 한국교원대 등 특정 대학 출신이 다수 참여하는 것도 '입시 카르텔'"이라며 문제 제기했습니다.

5백여 명에 이르는 수능 출제·검토 위원 가운데, 지난해 기준 서울대 출신 출제·검토 위원이 62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2, 3번째로 많은 고려대와 한국교원대는 출제·검토 위원이 20명대였습니다.

교육계에서는 특정 대학 출신 위주로 출제·검토 위원이 구성되면, 서로 견제하지 않아 출제 오류를 걸러내기 쉽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돼왔습니다.

(사진=양정호 성균관대 교수 발제자료 캡처, 연합뉴스)

남주현 기자 burnett@sbs.co.kr

▶ 다시 뜨겁게! SBS 항저우 아시안게임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