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우리 조선업체 상대로 기술 탈취 공격
핵잠수함 공개 이어 '해군 무력' 강화 몰두
국정원 "김정은, 중대형 군함 건조 지시해"
4일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정보 당국은 지난 8~9월 북한 해킹조직이 유수의 조선업체를 상대로 사이버 공격을 시도한 사례를 여러 건 포착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북한은 해군 군사력을 강화하기 위해 우리 조선업체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해킹 공격을 벌이고 있다"며 "이는 김정은의 '중대형 군함 건조 지시'에 따른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 |
북한이 9월 공개한 전술핵공격잠수함 '김군옥 영웅함' 진수식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북한은 최근 해군 군사력 강화에 무게를 두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8월 해군부대를 직접 시찰한 데 이어 9월에는 전술핵공격잠수함 '김군옥 영웅함' 진수식에 잇따라 모습을 드러냈다. 최근 러시아 방문 과정에서도 러시아의 구축함 '샤포시니코프 원수함'을 시찰하는 등 해군 무력 증대에 큰 관심을 보였다.
현재까지 공개된 북한 관영매체 보도에서 김 위원장이 '중대형 군함'을 건조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내용은 없었지만, 최근 선박 엔진을 제작하는 기업소를 찾아 '해군 무력 강화와 관련한 혁명적 투쟁 방침'을 제시한 바 있다. 국정원이 언급한 '김정은의 중대형 군함 건조 지시'는 이 과정에서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 |
국가정보원 전경 [사진제공=국가정보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보 당국에 따르면 북한 해킹조직이 우리 조선업체들을 상대로 사용한 해킹 수법은 ▲IT유지보수업체 PC를 점거한 뒤 우회 침투하거나 ▲조선업체 내부 직원을 상대로 피싱 메일을 유포한 뒤 악성코드를 설치하는 등 방식으로 나타났다.
국정원은 공격을 당한 업체들에 관련 사실을 통보한 뒤 보안대책을 지원하고 있으며, 예상 공격 타깃이 될 것으로 우려되는 주요 조선업체에도 자체 보안점검을 요청한 상태다. 세부적으로는 ▲업무망 및 인터넷망 분리 ▲유지보수업체-고객사 간 원격 접속용 프로그램 문제 점검 ▲불분명한 이메일 및 웹사이트 열람 금지 등을 당부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