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파업은 명분도 없다. 현재 에스알(SR)은 수서에서 출발하는 고속철도 SRT를 운영하고, 코레일은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KTX를 운영한다. 이런 구조가 철도 민영화를 위한 수순이라며, 수서에서도 KTX를 운영하라는 게 철도노조의 요구다. 하지만 정부는 철도 민영화는 전혀 검토한 적이 없다고 공언했다. 코레일과 SR 간 경쟁 체제는 장기간 논의를 거쳐 결정된 정부 정책으로 협상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점도 분명히 하고 있다. 2016년 12월 운행을 시작한 SRT는 KTX와 선로 사용료, 운임 체계 등이 다르다. 연결 운영할 경우 이용객 불편은 물론 안전도 담보할 수 없다. 이런 사정을 감안하면 철도 파업은 공공기관 경쟁과 효율성을 강조하는 정부 정책에 대한 거대 노조의 반발로 볼 수밖에 없다. 한문희 코레일 사장도 "이번 파업은 교섭으로 해결할 수 없는 정부 정책을 핵심 목적으로 하고 있어 정당성이 없다"고 밝혔다. 임금 인상, 4조 2교대 등의 요구 역시 노사 협상으로 풀 문제이지, 시민과 물류를 볼모로 잡을 일이 아니다.
철도노조는 "열차의 안전과 시민 편익을 지키는 투쟁"이라고 주장하지만, 파업은 시민 불편을 초래할 뿐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도 "철도노조가 지켜야 할 자리는 정치 투쟁의 싸움터가 아니라 국민의 일상을 지키는 철도 현장"이라며 복귀를 촉구했다. 국민 경제와 일상을 볼모로 한 투쟁은 공감과 지지를 얻기 힘들다. 철도는 노조의 자산이 아니라 공공자산임을 철도노조는 명심해야 한다. 정부는 불법행위에 엄정 대응하는 한편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경제에 차질이 없도록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