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물가가 잡히지 않는 가운데 추석을 앞두고 과일은 전년 동월 대비 50% 가까이 오른 반면 한우는 10% 이상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10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대 6일을 쉴 수 있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밥상 물가가 다시 꿈틀거리자 정부가 식품·외식업체 관계자와 직접 만나는 등 적극적인 물가 단속에 나섰다. 하지만 업계에선 인건비와 식재료비가 이미 크게 올라 버티기가 어렵다는 호소가 나온다. 상당수 외식 업체들은 연내 가격 인상 의사를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전년 대비 5.3%를 기록했다. 전월(5.9%)보다는 소폭 둔화됐지만, 전체 물가 상승률(3.4%)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특히 피자(10.8%)·김밥(7.4%)·떡볶이(7.4%)·라면(7.2%)·햄버거(7.1%) 등 서민 먹거리를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가 가팔랐다. 가공식품 가격도 전년 대비 6.3% 상승했다.
식품·외식 물가가 가라앉지 않자 정부는 관련 업체와 간담회를 가졌다. 한훈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지난 8일 CJ제일제당·오뚜기·SPC·교촌에프앤비·피자알볼로·걸작떡볶이·명륜진사갈비 등 국내 식품·외식업계 22개사 관계자들에게 “식품·외식 물가는 서민 체감도가 높아 추석을 앞두고 국민들의 걱정을 덜어줄 수 있게 해야 한다”며 “(업계에) 최대한 가공 식품과 외식에서 원가를 줄일 수 있는 부분에 있어 동참해달라고 했다”고 밝혔다. 사실상 ‘가격 인상 자제령’을 내린 것이다.
정부의 업계 압박을 통한 물가 잡기 시도는 처음이 아니다. 지난 6월엔 라면 업계를 불러 라면값 인상 억제를 유도했다. 지난 7월에는 원유 가격이 L당 88원(8.8%) 오른 직후에도 유업체와 간담회를 통해 흰 우유 가격을 과도하게 올리지 않도록 했다. 이에 서울우유협동조합은 흰 우유 출고가를 원유 가격 인상 폭보다 훨씬 적은 3% 수준으로 올리는 데 그쳤다.
외식업체들은 커진 원가 부담에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토로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2023년 2분기 외식산업 인사이트 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외식업체의 13.9%가 ‘향후 메뉴 가격 인상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76.5%는 ‘6개월 이내에 메뉴 가격을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가격을 올리려는 이유로 인건비와 식재료비가 크게 오른 점을 꼽았다. 외식업체 대표 A씨는 “해마다 최저임금이 오르다 보니 1년 새 인건비가 가장 많이 올랐다”고 밝혔다. 또 다른 업체 대표 B씨는 “올해 식자재 비용만 지난해보다 35% 오른 것 같다”며 “반대로 지출이 줄어든 항목은 거의 없다”고 토로했다.
이미 메뉴 가격을 최근 인상한 업체도 전체의 38%에 달했다. 하지만 가격을 올리고도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답한 업체는 7.7%에 불과했다. 59.8%는 현상유지, 나머지 32.5%는 오히려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원가 부담이 워낙 커진 탓에 소폭 가격 인상만으론 효과를 보지 못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식품·외식업체들의 원가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할당관세 품목을 확대하고, 주요 식재료 수입처 다변화를 위한 검역 협상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업계는 공공요금 할인, 대출이자 납부 유예, 외국인 인력 도입, 최저임금의 업종별 차등적용 등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추석 성수품 가격 안정에도 나선다. 이달 들어 차례상에 주로 오르는 사과·배 도매가는 전년 대비 각각 3배, 2.5배 수준으로 급등한 상태다. 정부는 국민들의 체감 물가를 완화하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14만9000t의 성수품을 시장에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세종=나상현 기자 na.sanghyeo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