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사 소조사천왕상 등 17세기 중후반 작품들
"불교 부흥 소명 담겨 역사적으로 중요해"
법주사 동방지국천왕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화재청은 전남 구례 화엄사, 여수 흥국사, 충북 보은 법주사, 경북 김천 직지사, 고흥 능가사, 영광 불갑사, 강원 홍천 수타사, 충남 공주 마곡사 등 사찰 여덟 곳의 사천왕상을 7일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전란을 겪고 사찰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불교 부흥의 소명을 담아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판단했다. 대상은 재건 불사나 불교 중흥과 관련이 깊은 17세기 중엽 이전 작품과 구성이 완전하고 변형과 왜곡이 적은 17세기 후반 작품. 한 달간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
국내에 사천왕상은 보물인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완주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세 건을 포함해 스무 건 정도 남아있다고 알려졌다. 보물로 지정 예고된 '구례 화엄사 소조사천왕상'과 '여수 흥국사 소조사천왕상'은 임진왜란 등 전란 뒤 벽암 각성(1575∼1660), 계특(戒特) 대사 등이 사찰을 복구하면서 조성했다. 의자에 걸터앉은 모습, 사각형의 주름진 큰 얼굴, 넓고 두텁게 표현된 콧방울 등 17세기 전반기 양식이 반영돼 있다. 발밑에 생령이 없는 점도 특징으로 꼽힌다.
화엄사 남방증장천왕과 서방광목천왕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보은 법주사 소조사천왕상'도 전란 뒤 만들어졌다. 시기는 17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국내 사천왕상으로는 드문 입상 형태인데 크기가 5.7m에 달한다. 밭 밑에는 생령으로 청나라와 조선 관리를 배치했다. 문화재청 측은 "1636년 발생한 병자호란의 치욕을 극복하고 교훈을 주고자 한 최초의 조각"이라고 설명했다.
'김천 직지사 소조사천왕상'은 발원문에서 1665년 완주 송광사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조각승이 조성했다는 점이 확인된다. 묵서가 발견돼 각 천왕의 방위도 파악된다. 문화재청 측은 "호남과 영남 조각승의 불상 제작과 교류 활동에 관한 내용도 담겨 조선 후기 불교 조각사 연구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고흥 능가사 목조사천왕상'은 동방지국천왕과 북방다문천왕, 남방증장천왕과 서방광목천왕의 순서를 각각 바꾼 점이 특징이다. '영광 불갑사 목조사천왕상'에서는 소조상에서 목조상으로 전환되는 과도기적 특성이 확인된다. 나무 조각을 접목해 전체 형태를 만드는 동시에 머리카락이나 세부 장식 등은 흙으로 정교하게 빚었다. 문화재청은 보물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 가운데 사천왕상에서 나온 유물의 지정을 해제한다. 사천왕상과 함께 '영광 불갑사 목조사천왕상 및 복장전적'이라는 이름으로 엮어 관리할 방침이다.
마곡사 북방다문천왕과 동방지국천왕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강원도에서 전하는 유일한 사천왕상인 '홍천 수타사 소조사천왕상'은 우리나라 최북단에 있는 사천왕상이라는 점에서 연구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됐다. 1683년 조성된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도 17세기 사천왕 도상 및 조각 유파의 활동 범위, 불상 제작 방식과 제작 순서 등을 연구할 수 있어 학술 가치가 크다고 판단됐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