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두 얼굴 AI, 역사의 복원자? 가짜뉴스 창조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르헨 군정 때 실종자 몽타주 생성 등 주목…‘태양폭풍’ 정전 등 진짜 같은 거짓도

최근 국제사회에서는 발전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역사적 사실을 분석하거나 활용하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집단 학살 희생자들을 찾아나서거나 고대 문헌을 해독하고, 역사적 사실을 교육하는 작업에 AI가 폭넓게 활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반면 AI가 거짓 역사를 꾸며내거나, 역사를 왜곡하는 사례도 목격된다. AI의 양면성에 관한 딜레마는 역사 분야에서도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AI를 활용해 과거의 진실을 찾으려는 시도는 최근 아르헨티나에서 주목을 받았다. 아르헨티나 홍보 전문가이자 아트 디렉터인 산티아고 바로스가 AI 기술을 활용해 ‘더러운 전쟁’(1976~1983년)이라 불렸던 군정 시기에 실종된 아이들을 찾는 프로젝트를 진행한 것이다. 당시 최대 3만여명이 실종됐는데, 이 중에는 약 500명의 아이도 포함돼 있다. 실종된 아이들은 사진조차 남아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행방 확인이 쉽지 않았다. 바로스는 AI를 활용해 그림 파일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미드저니’로 실종 아동들의 몽타주를 만들기 시작했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진을 결합해 성인이 된 자녀의 얼굴을 추정하는 방식이다. 그는 이같이 작업한 결과물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리고 있다. 자신의 출신에 의문을 가진 이들에게 ‘만에 하나’의 가능성을 일깨운다는 취지다.

AI를 활용해 잊힌 사람들을 추적하는 기술은 최근 ‘홀로코스트’(유태인 대학살) 사례에도 적용됐다. 유족들은 홀로코스트 희생자들이 나치 독일에 잡혀간 후 어떻게 살았는지 기록을 찾기 힘들었는데, 이제는 AI가 홀로코스트 기념센터 등이 보유한 2차 세계대전 당시 사진 50만장을 뒤져 희생자가 혹시라도 찍혔을지 모를 사진을 찾아내준다.

AI는 고고학 분야의 복원 작업에도 활용되고 있다. ‘구글 딥마인드 런던’과 영국 옥스퍼드대 고전학부 등의 공동연구팀은 지난해 AI를 이용해 70% 이상의 정확도로 고대 문헌을 해독하는 기술을 개발, 고고학계의 관심을 끈 바 있다. 또 네덜란드 흐로닝언대 연구팀은 AI 필체 분석 등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성경 필사본으로 알려진 ‘사해 두루마리’(사해 사본)를 한 사람이 아닌 두 사람이 썼다는 증거를 발견하기도 했다.

반면 AI가 역사 분야에 가져온 부작용도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 ‘레딧’ 등에는 미국에서 2012년 7월 태양폭풍에 따른 정전이 발생했다든지, 캐스캐디아 단층대에서 진도 9.1의 지진이 발생해 북미를 초토화시켰다는 등 거짓 사건을 꾸며낸 내용이 올라와 논란이 됐다. 이들 콘텐츠는 AI가 재구성한 사진과 기자회견 내용까지 곁들여 사실감을 더했다.

역사적 인물이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당시 이야기를 들려주는 스마트폰 채팅 애플리케이션들은 최근 ‘역사 왜곡’ 비판에 휩싸이기도 했다. 이들 프로그램은 역사와 관련된 방대한 자료를 읽고 이를 근거로 응답을 구성하는데, 부정확한 사실을 언급하거나 논란이 있는 인물을 미화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비슷한 논란은 일본에서도 있었다. 적십자사 도쿄도지부는 100년 전 간토대지진의 참상을 되새기는 취지에서 기존 문헌을 근거로 AI가 만들어낸 ‘새로운 증언’들을 선보이는 전시회를 기획했다. 하지만 원래 없었던 증언을 새로 만들어내는 기획전의 특징으로 인해 대중들 사이에선 ‘역사 왜곡’ 논란이 일었고, 행사는 아예 중단됐다.

역사적 사실을 복원하는 데 유용하면서도 언제든지 조작도 가능한 AI의 양면성은 향후에도 학계와 전문가들의 고민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인권단체 ‘위트니스’의 샘 그레고리 이사는 “속임수와 가스라이팅, 거짓 정보라는 회색 영역에 맞서면서 미디어가 가진 힘을 끌어낼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용하 기자 yong14h@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