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진화와 글로벌 확장속 미디어 산업의 미래
"콘텐츠·플랫폼 동반성장 필요"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는 4일 열린 'AI의 진화와 글로벌화 확장 속 국내 미디어 산업의 미래' 컨퍼런스에서 송출수수료 분쟁이 유료방송 산업 핵심 재원에 나타난 위기 신호로 진단하며 이같이 밝혔다.
'AI의 진화와 글로벌화 확장 속 국내 미디어 산업의 미래' 참석자들이 유료방송 성장 전략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사진=오수연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TV(IPTV) 매출에서 홈쇼핑 송출수수료 매출(1조3243억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28.6% 에 달한다. 2018년 20%를 돌파한 이후 지속적 상승세다. 그러나 올해 1분기 홈쇼핑 상위 4사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2.4% 급감했다. 갈등이 발생한 배경이다. 이 교수는는 이를 유료방송의 핵심 재원에 나타난 위기의 신호라고 진단했다. "라이브 커머스의 성장으로 인한 위기이기보다는 전체적인 지형의 변화, 세대 문제"라며 "홈쇼핑을 선호하는 세대가 버티는 시간이 늘어나면 위기가 늦춰질 수 있으나, 계속 성장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한국 유료방송 시장이 성장 한계에 달했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사람들이 TV를 보지 않는 현상보다 방송 프로그램을 보지 않는 점에 주목했다. TV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대화면으로 OTT 등 콘텐츠를 소비하는 흐름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는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고, 광고와 커머스는 새로운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인공지능(AI) 서비스의 성장에 대응해 혁신 동력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제시카 푹 S&P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연구원은 '글로벌 비디오 트렌드와 전망'을 주제로 발제했다. 푹 연구원은 "가장 중요한 전략은 플랫폼에 보석이 될 콘텐츠를 찾는 것"이라며 "예컨대 인도 사업자들은 다양한 콘텐츠를 훨씬 더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고, 로컬 사용자의 특징을 잘 파악해서 넷플릭스가 진출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이어진 종합 토론에는 김정현 고려대 교수를 좌장으로 곽동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과 김정환 부경대 교수, 이지은 법무법인 세종 선임연구원, 지성욱 한국외대 교수가 참여했다. 곽 연구위원은 1인가구 증가세와 이들이 유료방송 대신 OTT를 본다는 점에 주목하며 "결합상품, 저가 상품에 의존하는 유료방송의 장기적 전망이 밝지 않다. 코드네버(유료방송에 가입해보지 않은 사람들)가 사회 주류가 되는 시점에서 유료방송의 설 자리가 없어진다"고 말했다. 또 "플랫폼 부문의 취약한 경쟁력이 K콘텐츠의 글로벌 플랫폼 의존도를 과도하게 심화시키는 악순환이 이미 발생 중"이라며 "콘텐츠와 플랫폼의 동반성장을 통해 OTT 확산이 만든 미디어 국경의 소멸이라는 시대적 흐름을 최대한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과제"라고 밝혔다.
지 교수는 현재 상황을 '위기의 고착화'라고 진단했다. 그는 "미디어 산업의 위기를 촉발하는 주요 원인이 국내가 아닌 해외 사업자의 시장 잠식에 의해 시작돼 현재 상황이 향후 고착화될 수 있다는 것"이라며 "글로벌 OTT는 글로벌 시장 규모에 비례해 콘텐츠 제작 비용을 늘리는 반면, 국내사업자가 감당할 수 있는 제작비는 기본적으로 내수 시장에 한정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에서 생산된 영상상품을 글로벌 시장에 직접 유통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글로컬(글로벌·로컬)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 교수는 "로컬의 이야기를 담을 수 있는 글로벌 플랫폼 육성전략이 필요하다"며 "웹툰 플랫폼이 글로벌로 나간 상황을 보면 한국 콘텐츠 외에도 현지 콘텐츠를 유통하고, 현지 작가를 채용한다. 국내 콘텐츠만 유통하고 전달하는 플랫폼이 아니라 글로벌 유통 역량을 가질 수 있는 플랫폼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