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종교계 이모저모

고려시대 ‘2층 다락집’ 건물지 발굴…강화도 사찰 유적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 ‘전 묘지사지’ 발굴조사

온돌·누마루 갖춘 2층 건물구조…찻잔·차맷돌 등 유물도 확인

경향신문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가 고려시대 사찰 유적인 강화도 묘지사지 발굴조사에 확인한 2층 다락집 형태의 건물지 전경. 서울문화재연구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의 온돌시설을 갖춘 2층 다락집 형태 건물 구조가 인천 강화도의 사찰 유적에서 처음으로 발굴됐다.

방 전체에 깔린 13세기 고려시대 온돌의 온전한 형태가 발굴된 데다, 다락집 구조 건물도 확인된 사례가 없어 고려시대 건축사·건물 구조 연구 등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는 “강화군 화도면의 고려시대 사찰인 묘지사 터(묘지사지)로 알려진 유적 발굴조사에서 2층 다락집 형태의 건물 구조와 온돌, 벼루와 찻잔 등 유물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고려시대 사찰 유적인 강화 묘지사지는 고려가 몽골 침략에 맞서 수도를 강화로 옮긴 1232년(고종 19년)부터 1270년(원종 11년)까지의 시기인 이른바 ‘강도시기(江都時期)’의 유적으로 알려져 있다. 역사서 <고려사>에 따르면, 묘지사는 1264년(원종 5년) 왕이 마니산 참성단에서 초제(도교·무속신앙에서 하늘과 땅·별을 향해 치르는 제사)를 지내기 전에 머물던 사찰이다.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는 발굴조사에서 대규모의 중심 건물지 1동과 각종 생활시설이 포함된 부속 건물지 2동 등 모두 3동의 건물지를 확인했다. 발굴지 북쪽의 중심 건물은 경사 지형을 이용한 다락집 형태 건물지로, 특히 상층에는 대규모 난방시설을 갖춘 방과 방에 잇댄 누마루가 설치됐다.

난방시설은 방 양쪽에 있는 아궁이를 통해 유입된 화기가 방 전체를 ‘ㄷ’자 형태로 회전하면서 건물 북쪽으로 각각 빠져나가는 구조다. 발굴단 측은 “13세기 방 전체에 깔린 온돌인 전면 온돌의 온전한 형태를 갖춘 귀중한 자료로 주목된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고려시대 사찰 유적인 묘지사 터에서 발굴된 찻잔 등 유물들(왼쪽)과 온전한 형태로 확인된 당시의 온돌 시설.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온돌방에 잇대어 누마루가 설치됐는데 누마루 아래쪽은 별도 공간으로 활용된 것이 확인됐다. 발굴단은 “이 같은 다락집 구조는 지금까지 같은 시기 유적에서 확인된 사례가 없다”며 “고려시대 건물 구조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2동의 부속 건물지는 한 지붕 아래 아궁이, 부뚜막 등 부엌과 온돌시설이 있는 여러 개 공간으로 구성돼 있어 당시 생활공간으로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또 찻잎을 가는 데 사용하는 맷돌인 차맷돌을 비롯해 찻잔, 벼루 등 다양한 종류의 도자기와 다량의 평기와 등도 출토됐다.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는 “이 유물들로 미루어 볼 때 전(傳) 묘지사지는 고급 청자와 차 문화를 향유한 상위계층에 의해 강도시기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이전까지 운영됐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연구소 측은 29~30일 이틀간 발굴조사 현장에서 현장설명회를 통해 조사 성과를 공개하며, 국립문화재연구원 유튜브 채널(youtube.com/@nrichstory)에서도 이를 소개한다.

경향신문

강화도 묘지사지 유적에서 확인된 생활시설 건물지(왼쪽)와 유적 전경. 서울문화재연구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재기 선임기자 jaekee@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