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게임정책과 업계 현황

신림역 흉기난동이 '게임중독' 때문?…권일용 "무책임한 분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사진=JTBC '뭐털도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프로파일러 권일용과 표창원이 지난 한 달 사이 전국에서 잇따라 발생한 흉기 난동을 '게임 중독'과 연결 짓는 것에 대해 무책임한 분석이라고 지적했다.

권일용과 표창원은 지난 22일 방송된 JTBC '뭐털도사'에서 "게임이나 영화는 범죄와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권일용은 "(게임 원인론은) 너무 무책임한 분석이다. 게임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일 뿐"이라며 "게임 원인론의 한 가지 핵심적인 문제는 개인이 가진 범죄 성향과 공격성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고, 외부의 영향을 받아 범죄를 저지르는 것처럼만 보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렇게 되면 범죄의 원인을 찾아가는 데 굉장히 위험한 접근법"이라고 비판했다.

표창원 역시 "게임 원인론은 우리 프로파일러 초창기인 20년 전 이미 기각한 가설이다. 그때(20년 전) 이미 정리된 것"이라며 "섣부른 게임 원인론, 영화 원인론을 제기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머니투데이

/사진=JTBC '뭐털도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권일용과 표창원은 '사회적 배제감'이 흉기 난동으로 이어졌을 것이라고 봤다. 사회에서 주어진 기회를 박탈당했다는 감정이 유대 관계를 단절시키고, 범죄에 대한 죄책감을 없앤다고 분석했다.

조현병과 망상이 범행으로 이어진 사례에 대해서는 사회가 미리 감지할 수 있었던 위험성이라고 지적했다. 표창원은 "최원종(서현역 흉기 난동범)은 망상의 양상이 뚜렷해 보였다. 보통 사람처럼 살다 범죄를 저지른 게 아니다"고 강조했다.

권일용은 "조현병이 초기에 치료되면 다행이다. 하지만, 치료되지 않고 시간이 흐르면 가족은 지칠 대로 지치고, 환자는 통제되지 않는다. 치료에 3개월 이상 공백이 생기면 범죄율은 급격히 높아진다"고 말했다.

이어 "정신보건법이 개정되면서 입원 요건이 강화돼 치료받아야 될 사람들이 못 받는 경우도 많다"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사진=JTBC '뭐털도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검찰은 11일 서울 관악구 신림역 인근에서 흉기 난동을 벌인 조선(33)이 컴퓨터 게임을 모방해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팀장 김수민 형사3부장)은 조선이 평소 게임중독 상황이었던 점이 범행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조선이 범행 당시 가볍게 뛰는 걸음으로 피해자에게 접근해 뒤나 옆에서 공격하고, 얼굴·뒷목·옆구리 등 치명상을 가할 수 있는 부위를 집중 공격하는 등 행동이 일인칭 슈팅 게임 캐릭터의 특성과 유사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20대 남성의 96.9%, 30대 남성의 80.9%가 게임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국민의 게임 이용률도 74.4%에 이른다.

이에 검찰이 조선의 범행 원인을 제대로 찾지 않고 해묵은 '게임 혐오' 논란만 부추긴다는 비판이 나왔다.

전형주 기자 jhj@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