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게임정책과 업계 현황

“게임중독, 범행동기 될 수 없어”…게임 국제심포지엄 전문가들 한목소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게임 연결고리로 세계적 석학 한자리에 모여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왕진화 기자] ‘제2회 게임문화포럼’에서 게임중독이 흉기 난동의 원인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흉기 난동의 본질은 게임중독이 아닌 환자 및 보호자, 일반 국민들이 보호받고 무서워하지 않는 사회가 되는 것에 맞춰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한덕현 중앙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17일 제2회 게임문화포럼 국제심포지엄 ‘게임 문화 Game on Culture(게임 온 컬처)’ 기자간담회에서 “신림동 흉기 난동 범행 원인으로 게임중독이 지목됐는데, 게임을 많이 즐겼다고 해서 사람을 죽일 수는 없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한 교수는 사건 본질에 대해, 게임을 많이 한 사람이 게임을 흉내내서 사람을 죽였다는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가해자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나 진단이 없어 국민들이 불안할 수밖에 없다는 본질을 짚었다. 또, 일반 국민들의 정신보건에 대한 것을 관리하는 정신보건법이 허술해 환자가 아닌 사람일지라도 진단을 제대로 받을 수 없다는 점도 꼬집었다.

한 교수는 “가해자가 잠시 과거에 게임을 했었다고 하는, 조그만 점이 침소봉대된 사건”이라며 “이 사건 본질은 게임중독이 아니라, 환자 및 보호자, 일반 국민들이 보호받고 무서워하지 않는 사회가 되는 것에 맞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17일 게임문화재단(이사장 김경일, 이하 재단)과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조현래, 이하 콘진원)이 개최한 게임문화포럼 국제심포지엄을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에 국내외 저명한 정신·심리학과 교수들이 모였다.

이번 포럼은 게임과몰입, 게임 이용 장애(Gaming Disorder) 등 게임을 둘러싼 논란을 과학적으로 증명해온 이전 심포지엄을 확장해 ▲의료 ▲교육 ▲인문 사회 ▲예술 ▲스포츠 ▲방송 등 여러 분야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는 자리로 마련됐다. 전문가들은 게임 영향과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부터 문화사회적 영향력까지 살펴볼 예정이다.

이날 본격 포럼 진행에 앞서 간담회에 참석한 블라단 스타서빅 시드니대학교 정신의학 교수는 “살인사건 등 범죄를 게임이용장애나 게임중독으로 귀결시키는 것은 일반화를 통해 쉬운 답변을 찾는 행위”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에스펜 올세트 코펜하겐IT대학교 게임학과 교수는 북유럽에서 게임 관련 문제를 바라보는 시선을 소개했다. 북유럽에서는 게임장애 및 중독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지 않고, 어떤 문제나 문제 발생과 게임을 연관시켜 보는 일도 거의 적은 편이라고 강조했다.

에스펜 교수는 “북유럽에선 대부분 문제가 있는 아이가 평소 게임을 많이 한다 해도, 이를 문제가 발생된 원인으로 삼지 않는다. 오히려 아이가 즐거움을 느낄 일이 많지 않은데 게임을 즐거움의 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듯 이들은 오는 18일까지 게임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공유하며 다채로운 관점의 연구를 통해 게임의 문화적 가능성을 확인할 방침이다.

게임의 영향과 효과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고, 문화적 측면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게임이 사회적, 정신적, 교육적으로 어떤 영향과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지 논의하는 자리를 가진다. 지난 2017년 ‘게임과몰입,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2019년 ‘인터넷게임장애(IGD) 국제 공동연구 심포지엄’ 연장선상으로 진행된다.

김경일 게임문화재단 이사장은 “게임은 다학제간 입체적인 연구를 통해 그 가치가 확장될 것이다. 평소 한자리에서 만나기 어려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게임’을 연결고리로 만날 수 있는 자리가 있다는 것 자체가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며 “많은 이들이 함께 하면서 게임으로 소통하는 미래를 그려보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오는 18일에는 ▲EBS 박진우 PD ‘방송이 게임을 만날 때, 한국의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김기한 교수 ‘이스포츠 인사이트’, ▲LCK 이정훈 사무총장 ‘이스포츠의 현재와 미래 대체 스포츠로서의 가능성’으로 발표를 이어간다.

이어 한국 게임 정책에 대한 이야기도 나눈다. 한국게임산업협회 강준구 팀장은 한국 게임산업과 게임 정책의 방향을 소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 김성준 게임본부장이 게임문화 지원사업과 진흥정책을 이야기한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