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철근 누락 보강공사하면 문제없나…"기둥 철근이 빠진 건 아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다음 달 말까지 철근 누락 부실시공과 관련해 보강공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히면서 보강 조치 이후에는 과연 안전에 문제가 없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특히 일부 민간 아파트는 주거동에도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것으로 확인돼 문제가 발견될 경우 안전 조치를 어떻게 할지도 관심사입니다.

오늘(3일) LH에 따르면 철근 누락이 확인된 LH 발주 15개 아파트 단지 중 이미 3곳은 보강 작업이 완료됐으며 나머지 12곳은 다음 달 말까지 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보강 공사는 철근 누락 원인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이뤄지나 크게는 기둥 신설과 슬래브(콘크리트 천장) 보완, 철근 콘크리트 상부 보완 등으로 나뉘며 일부 현장은 여러 방법을 복합해 적용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슬래브 보완 방식으로, 아직 보강 방법이 정해지지 않은 2곳을 제외한 13곳 중 9곳이 이 방식으로 보강합니다.

기둥 상부에 철판을 꽃봉오리 받침 형태로 덧대어 천장의 하중을 받치도록 하는 방식으로, 공사가 끝났거나 이미 상당 부분 진척된 경우 이 방식을 많이 씁니다.

철근 콘크리트 상부 보완은 아직 조경 공사가 끝나지 않아 위에서 접근할 수 있는 때 사용합니다.

슬래브 상부에 철근을 박아 넣어 고정하고 위에 콘크리트를 부어 부피와 두께를 키우는 방식입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슬래브 보완은 눈에 보이고 층고가 낮아지는 면이 있어 상부 보완이 더 좋지만 이미 조경공사까지 마쳤으면 이 방식이 어려워 슬래브 보완으로 접근하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새 철골 기둥을 세울 수도 있습니다.

154개 기둥 전부에서 철근이 빠진 경기도 양주 회천 A15 단지는 기둥 신설과 슬래브 보완 방식을 병행합니다.

정부가 추가로 조사하겠다고 밝힌 민간 아파트에서 철근 누락 등의 부실 공사가 확인될 경우에도 이런 공법이 사용될 전망입니다.

LH는 보강된 공사가 모두 검증된 공법이며 단지별 상황에 맞춰 철저하게 보강 공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한국콘크리트학회에 의뢰해 보강공법을 채택했습니다.

전문가들도 제대로만 이뤄진다면 향후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콘크리트 구조 전문가인 박홍근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는 "기둥의 철근이 빠진 게 아니라 기둥과 연결된 슬래브, 기둥 주위에 철근이 빠진 것이어서 보강이 어렵지는 않다"면서 "LH의 공사 내용을 볼 때 잘 검사해 필요한 부분이 잘 보강된다면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LH가 밝힌 보강 공사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는 점에서 심각한 수준은 아닐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보강 비용은 단지별로 다르나 양주 회천 8억 900만 원, 남양주 별내A25 7억 5천만 원 순으로 많고, 파주운정3 A23은 2천만 원 수준입니다.

그러나 주민들의 불안이 쉽사리 가라앉지는 않을 전망입니다.

일부 주민들은 LH가 직접 보강공사를 실시하는 점에 대해서도 불만을 표출하고 있습니다.

LH는 이러한 주민 불안을 불식시키기 위해 입주민과 입주 예정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해 보강공사를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이한준 LH 사장은 어제 혁신 계획을 발표하면서 "우선 LH가 보강공사를 실시하고, 추후 입주민들이 지정한 업체에 의뢰해 안전점검을 실시해 입주민께서 안심하실 때까지 무한 책임을 갖고 조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