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중앙위원·국무위원직 그대로…"해결 안 된 내부문제 때문" 추측도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중국 당국이 친강 외교부장을 면직시키고, 그 자리에 전임자인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원을 다시 앉혔지만, 의문은 이어지고 있다.
친강이 외교부장 해임 후에도 국무위원과 공산당 중앙위원 직위를 유지하고 있는 데 대해 의구심이 커지고 있으며, 상급자인 왕이가 하급자의 자리를 채운 것도 자연스럽지 않기 때문이다.
26일 외신과 중화권 매체에 따르면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는 전날 오전 제4차 회의를 열어 표결로 외교부장 임면을 결정했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사유는 공개하지 않았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21년 3월 발효된 전인대 조직법에 따라 친강 외교부장 해임이 이뤄졌다고 전했다.
당국가 체제로 공산당이 행정부 격인 국무원을 지도하는 중국에서 국무위원은 총리 또는 국무원 상무회의의 위임을 받아 특정 임무를 할 수 있는 자리다.
국무위원은 국무원 서열상 부총리의 차순위이지만, 행정상 같은 직급이다. 현재 친강과 리상푸 국방부장을 포함해 5명이 국무위원이라는 점에서, 국무원의 여타 부처 부장보다는 한 직급 위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전인대 상무위원회의 경우 통상 2개월 전에 개최가 예정되고 짝수 달 말에 열려왔지만, 이번에는 불과 하루 전에 개최가 통보된 점도 의문이라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적했다.
WSJ은 이런 사정을 고려할 때 입법부 격인 전인대가 친강 외교부장을 면직시킨 것이 아니라 그 윗선에서 '결정'이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중국에서 고위인사가 낙마하게 되면 국무원과 당의 겸직 지위가 동시에 면직되는 것과는 달리 친강이 공산당 중앙위원회 중앙위원(총 205명) 자리를 유지한 것도 의문이다. 중앙위원 중에서 공산당 중앙정치국원(24명)이 선출되고, 그 가운데서 상무위원(7명)이 정해진다.
9년간 외교부장을 지낸 뒤 권력 서열 24위권의 중앙정치국원 자리에 올라 외교라인 수장으로 시진핑 국가 주석을 보좌하는 왕이가 결정된 외교 사안을 실행하는 자리인 외교부장을 다시 맡게 됐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중국이 직면한 복잡한 외교 환경에 대처하려는 고육책이라는 분석도 있으나, 설득력은 크지 않아 보인다.
친강은 미국 주재 외교관 경험이 크게 부족한데도 주미 중국대사로 발탁됐고, 작년 12월 30일 외교부장으로 임명됐다. 이어 지난 3월 열린 전인대에서 외교부장직을 유지하면서 국무위원으로 한 단계 승격했다.
현재 친강의 중병설, 조사설, 불륜설 등 확인되지 않은 다양한 추측이 난무하는 가운데 친강의 낙마 원인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일각에선 시 주석 반대 세력이 친강의 불미스러운 일을 빌미 삼아 경질을 요구한 데 대해 시 주석이 외교부장을 면직하되 국무위원·당 중앙위원 자리를 유지하는 제한적인 처벌을 결정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kjih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친강 중국 국무위원 |
친강이 외교부장 해임 후에도 국무위원과 공산당 중앙위원 직위를 유지하고 있는 데 대해 의구심이 커지고 있으며, 상급자인 왕이가 하급자의 자리를 채운 것도 자연스럽지 않기 때문이다.
26일 외신과 중화권 매체에 따르면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는 전날 오전 제4차 회의를 열어 표결로 외교부장 임면을 결정했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사유는 공개하지 않았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21년 3월 발효된 전인대 조직법에 따라 친강 외교부장 해임이 이뤄졌다고 전했다.
당국가 체제로 공산당이 행정부 격인 국무원을 지도하는 중국에서 국무위원은 총리 또는 국무원 상무회의의 위임을 받아 특정 임무를 할 수 있는 자리다.
국무위원은 국무원 서열상 부총리의 차순위이지만, 행정상 같은 직급이다. 현재 친강과 리상푸 국방부장을 포함해 5명이 국무위원이라는 점에서, 국무원의 여타 부처 부장보다는 한 직급 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전인대 상무위원 170명이 참석한 회의에서 친강의 국무위원 자리도 박탈할 수 있었지만, 그런 조치는 없었고 친강은 국무위원직을 유지했다.
아울러 전인대 상무위원회의 경우 통상 2개월 전에 개최가 예정되고 짝수 달 말에 열려왔지만, 이번에는 불과 하루 전에 개최가 통보된 점도 의문이라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적했다.
WSJ은 이런 사정을 고려할 때 입법부 격인 전인대가 친강 외교부장을 면직시킨 것이 아니라 그 윗선에서 '결정'이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중국에서 고위인사가 낙마하게 되면 국무원과 당의 겸직 지위가 동시에 면직되는 것과는 달리 친강이 공산당 중앙위원회 중앙위원(총 205명) 자리를 유지한 것도 의문이다. 중앙위원 중에서 공산당 중앙정치국원(24명)이 선출되고, 그 가운데서 상무위원(7명)이 정해진다.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원 겸 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이 외교부장을 겸임하게 된 것도 의문을 자아내는 대목이다.
[그래픽] '잠적 미스터리' 친강 중국 외교부장 해임 |
중국 신임 외교부장으로 임명된 왕이 |
9년간 외교부장을 지낸 뒤 권력 서열 24위권의 중앙정치국원 자리에 올라 외교라인 수장으로 시진핑 국가 주석을 보좌하는 왕이가 결정된 외교 사안을 실행하는 자리인 외교부장을 다시 맡게 됐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중국이 직면한 복잡한 외교 환경에 대처하려는 고육책이라는 분석도 있으나, 설득력은 크지 않아 보인다.
중국의 이른바 '늑대전사(전랑) 외교'를 상징하는 인물 친강은 시 주석이 총애하는 인물로 여겨졌다.
친강은 미국 주재 외교관 경험이 크게 부족한데도 주미 중국대사로 발탁됐고, 작년 12월 30일 외교부장으로 임명됐다. 이어 지난 3월 열린 전인대에서 외교부장직을 유지하면서 국무위원으로 한 단계 승격했다.
현재 친강의 중병설, 조사설, 불륜설 등 확인되지 않은 다양한 추측이 난무하는 가운데 친강의 낙마 원인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일각에선 시 주석 반대 세력이 친강의 불미스러운 일을 빌미 삼아 경질을 요구한 데 대해 시 주석이 외교부장을 면직하되 국무위원·당 중앙위원 자리를 유지하는 제한적인 처벌을 결정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중국 정치경제 전문가 주드 블란쳇은 WSJ에 "친강 해임을 시진핑의 권력 축소로 해석할 수 없다"며 "현재 친강이 국무원과 공산당의 일부 직책을 유지한다는 것은 해결되지 않은 내부 문제가 있음을 나타냈다"고 짚었다.
박수치는 시진핑 국가 주석 |
kjih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