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지산 봉수터에서 발견된 화철 |
발견된 유물과 구조물은 불을 피우는 도구인 화철 1점, 연기를 내는 연조(거화 시설) 5기, 봉수터를 감싼 방호 시설, 봉수로 오는 신호를 관망할 수 있게 마련한 망덕 시설 등이다.
이 중 화철은 봉수마다 구비된 80여종의 봉수 집물 중 하나로, 부싯돌과 마찰시켜 불을 피우는 철제품이다.
봉수터에서 불을 피우는데(거화) 쓰는 거화 도구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시는 비지정 문화재인 건지산 봉수터의 원형과 역사적 가치를 회복하기 위해 문화재청 허가를 얻어 지난 4월 13일부터 발굴조사를 해왔다.
봉수는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로 변방의 급한 소식을 한양에 알리는 국가통신제도로, 조선 초 세종 때 설치된 뒤 1895년(고종 32년) 공식적으로 사라질 때까지 약 450년간 사용됐다.
건지산 봉수터 연조 5기 |
건지산 봉수는 조선의 5개 봉수 노선 중 부산에서 한양으로 올라오는 노선의 42번째 내지(내륙)봉수이다.
안성 망이산 봉수에서 신호를 받아 처인구 포곡읍 석성산 봉수로 신호를 전달했다고 세종실록지리지 등에 기록돼 있다.
시는 126년 전인 1895년 봉수제도가 없어진 이후 사라진 것으로 알려진 건지산 봉수를 찾기 위해 2020년부터 현장답사를 진행해 2021년 봉수 흔적을 발견했다.
용인시 관계자는 "건지산 봉수터와 석성산 봉수터가 관내에서 확인된 것으로 미뤄 용인은 과거 조선시대 통신 체계에 중요 지역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며 "건지산 봉수터가 석성산 봉수터처럼 국가 사적 문화재로 지정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goal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