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취업과 일자리

더 일하고 싶은 청년 취업자 13만7천명…코로나 전보다 22%↑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6시간 미만 일하고 추가 취업 희망·가능한 '불완전 취업자'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청년 고용률, 역대 2위

연합뉴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김다혜 기자 = 청년층(15∼29세)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가 코로나19 이전보다 20% 이상 늘었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조사 대상 주간에 실제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을 희망하고 실제로 추가 취업이 가능했던 사람을 가리킨다.

명목상 취업자로 분류되지만, 더 많은 시간 일하기를 희망하는 사실상의 구직자여서 '불완전 취업자'로 불린다.

1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6월 청년층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13만7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12만6천명)보다 8.7% 늘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6월(11만2천명)과 비교하면 22.3% 늘어난 수준이다.

지난달 청년층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를 수학 상태별로 보면 70.6%가 졸업 상태였고 14.1%는 재학, 9.8%는 휴학, 5.6%는 중퇴였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점업(30.5%) 종사자가 가장 많았고 이어 교육서비스업(15.5%), 도소매업(14.8%),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7.6%) 등의 순이었다.

청년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2020년 6월(16만5천명)과 2021년 6월(15만5천명) 크게 늘었다가 작년 6월 12만명대로 줄었으나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청년 취업자가 줄어드는 가운데 '불완전 취업자'는 늘어난 셈이다.

지난달 청년 취업자(394만7천명)는 11만7천명 줄면서 8개월째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청년 인구 가운데 청년 취업자 비율인 고용률(47.0%)도 1년 전보다 0.4%포인트 내렸다.

인구 감소에 따른 영향을 제외하고 봐도 청년 고용시장이 작년보다 안 좋아졌다는 의미다.

다만 지난달 청년 고용률은 6월 기준 역대 2위로 양호한 수준이다.

또 15∼19세(-0.7%포인트), 20∼24세(-0.8%포인트)에서는 고용률이 내렸으나 25∼29세(0.9%포인트)에서는 올랐다.

moment@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