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차세대 스마트폰

'폴더블 스마트폰' 노출한 김정은…'얼리 어답터' 이미지 각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거 맥북·아이패드 사용으로 '애플 마니아'라는 평가 들어

연합뉴스

김정은 앞 테이블에 놓여있는 폴더블폰
지난 12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신형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의 시험발사 현지 지도하는 현장에서 포착된 폴더블폰. [조선중앙통신.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신 휴대전화인 폴더블 스마트폰을 소지한 모습을 노출함으로써 대내외에 '얼리 어답터'(최신 기기를 일찍 사용하는 사람) 이미지를 다시 한번 각인시켰다.

지난 13일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을 보면 전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 시험발사 장면을 지켜보는 김 위원장 앞 탁자 위에 폴더블폰으로 보이는 물건이 놓여 있다.

물체의 모양과 크기, 두께 등을 고려하면 화면이 위아래로 접히는 폴더블폰 제품으로 추정된다.

박문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수석연구원은 15일 "사진으로 봤을 때 갤럭시 제품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산 제품을 들여왔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북한은 과학기술 전시회를 통해 최신 기술 성과를 과시하곤 하는데, 폴더블폰과 관련한 동향은 소개된 적이 없어 북한산일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노출의 의도성을 떠나 김 위원장이 최신 기술이 적용된 폴더블폰을 사용하는 모습은 익히 알려진 그의 얼리 어답터 성향을 다시 한번 보여준다.

그는 2016년 전용기에서 미국 애플사 노트북 '맥북', 2019년 초대형 방사포 시험발사 자축 현장에서 '아이패드'를 사용하는 모습이 포착되면서 '애플 마니아'로 알려졌다.

다만 그 후 김 위원장 곁에서 애플 제품들은 찾기가 어려워졌다. 대신 중국산이나 자국산 조립품 전자기기들이 등장했다. 미제 반대를 외치는 '애플빠'라는 이미지에 신경이 쓰였던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올해 3월 포병부대 현지 지도에서도 김 위원장이 이용한 탁상에 중국 제품으로 보이는 일체형 스마트폰이 놓인 모습이 사진에 담겼다.

이번에 김 위원장의 '폴더블 스마트폰' 사진은 대외용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물론 주민들이 보는 노동신문 1면에도 실렸다.

최고 지도자가 최신 전자제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노출함으로써 주민들에게 첨단 기술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효과를 노렸을 가능성도 있다.

'폴더블 스마트폰'은 지난달 열린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현송월 당 부부장도 소지한 모습이 포착되는 등 이미 북한에 어느 정도 보급된 것으로 보인다.

정은이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에서도 최신 휴대전화가 계속 출시되고 주민들도 휴대전화를 최신으로 바꾸는 사례가 많다"며 북한에서도 폴더블폰을 쓰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들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현송월도 폴더블 스마트폰 사용
(서울=연합뉴스) 지난달 열린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현송월 당 부부장 앞에 '폴더블 스마트폰'으로 보이는 기기(붉은색 원)가 놓여 있는 모습. [조선중앙TV 화면] 2023.7.15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kit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