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2분기 지역경제보고서 발간
2010~2022년 전국 16개 시도 분석
제조업 비중 낮을수록, 소득 하위 지역일수록 영향 커
고령인구는 많을수록…가계부채 높은곳, 생산에 영향
사진=이데일리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은은 26일 발간한 ‘2분기 지역경제보고서’를 통해 “통화정책은 경제 전체의 물가, 경기, 금융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된다”며 “이러한 통화정책이 지역별 산업, 인구, 소득 구조 등에 따라 그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은은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의 전국 16개 시도(세종시 제외) 패널데이터를 이용해 분석했다. 특히 제조업 비중, 소득 규모, 고령인구 비중,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중심으로 지역별 차이를 살폈다.
분석 결과 통화정책 충격에 의한 영향은 제조업 비중이 낮은 지역일수록 크게 나타났고, 소득 규모에 따라선 소득 하위지역이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고령인구가 많은 지역일수록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지역에선 생산이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고령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통화정책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 데는 지역의 높은 비임금 근로자 비중이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제조업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효과가 더 작게 나타난 것은 해당 지역에서 수출 비중이 높고 소규모 기업체 비중이 낮은 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부산과 제주는 3가지 변수가, 서울과 강원은 2가지 변수가 통화정책 충격 영향을 크게 받는 상위 25% 지역에 해당했다. 지역별 제조업 비중은 2021년 기준 서울(3.7%), 제주(4.2%), 강원(10.5%), 부산(17.2%) 순으로 낮았다. 소득 규모는 대구, 광주, 부산이 3000만원 이하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작년 기준 전남(23.9%), 경북(23.3%), 전북(22.7%), 강원(22.2%), 부산(20.9%) 순으로 높았다.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작년 기준 서울(205.4%), 제주(128.5%), 부산(116.6%) 등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출처=한국은행 |
한은은 통화정책 파급효과가 지역별로 상이한 만큼, 미시적 정책 대응 수단을 제언했다. 한은은 “이들 지역 대부분 코로나19 충격 영향이 상대적으로 컸던 곳으로, 작년과 같이 공급 측 물가상승 압력에 따른 긴축적 통화정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이들 지역에 경기 하락 효과가 집중돼 나타날 우려가 있다”며 “긴축적 통화정책 영향이 큰 지역에 대해 재정정책과 적절한 정책 협력을 통해 지원하고, 통화정책 측면에선 지방중소기업 지원자금 등을 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