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토요리뷰]"댓글인가 채팅인가"…다음의 '실시간 뉴스 댓글' 실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특정 댓글 의견 과대 대표 부작용 줄어…실시간 토론도 가능

댓글 도배·24시간 제한 등 단점도 공존

뉴스1

포털 다음이 실시간 채팅형 뉴스 댓글 서비스 '타임톡'을 베타(임시) 도입했다. 카카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남해인 기자 = 포털 다음이 실시간 채팅형 뉴스 댓글 서비스 '타임톡'을 베타(임시) 도입했다. 일부 댓글의 의견이 과대 대표되는 부작용이 확연히 줄었지만 기존 댓글창의 장점은 사라져 아쉬운 측면도 공존한다.

10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기존 뉴스 댓글을 대체한 타임톡은 추천순·찬반순 정렬과 같이 일부 댓글을 상위 노출하는 형태가 아닌 실시간 대화창을 제공한다.

타임톡은 기사 발행 후 24시간만 제공된다. 24시간이 지나면 타임톡 창은 사라진다.

아울러 타임톡에는 인공지능(AI) 기반 운영정책 위반 댓글 차단 프로그램인 '세이프봇'이 적용됐다. 타임톡에 접속하면 '세이프봇이 작동 중'이라는 문구가 가장 먼저 뜬다.

새 댓글 서비스를 도입한 카카오 다음CIC 관계자는 "이용자의 실시간 소통과 표현의 자유를 유지하면서도 일부 댓글이 과대 대표되거나 부적절한 댓글이 사라지지 않는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타임톡을 선보였다"고 도입 취지를 밝혔다.

뉴스1

다음 뉴스 댓글 서비스 '타임톡' 갈무리.ⓒ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자가 사용해본 타임톡 서비스는 도입 취지에 따른 장점이 살아있는 모습이었다. 다만 '댓글과 채팅 사이 어디쯤'인 타임톡의 애매한 특성상 한계도 명확했다.

다음 메인 화면에 올라와있는 최신 뉴스를 클릭하면 제목 하단 왼편에 시계 모양의 타임톡 버튼이 있다. 혹은 원래 댓글창이 있던 기사 하단을 통해 타임톡에 접속할 수 있다.

기사 하단에서 타임톡 내용을 바로 확인할 수 없고 '참여하기'를 눌러 채팅창에 접속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타임톡에 들어가보니 일반적인 채팅창과 유사한 형태였다. 한 번 올라온 댓글은 다른 새로운 댓글이 올라오면 위로 올라가 화면에서 사라지기 때문에 한 댓글이 고정 노출되는 경우는 없다.

갑론을박이 치열한 쟁점을 다룬 기사일수록, 댓글이 특히 활성화된 정치 관련 기사일수록 기존 댓글이 화면에서 사라지는 속도가 빨랐다.

'좋아요' 수를 많이 받은 한 댓글이 상단에 지속 노출되면서 여론을 과대 대표하는 부작용이 해소된 것이다. 기존 뉴스 댓글 서비스는 시민들의 공론장의 기능을 하지만 편향적인 의견이나 비방성 ·추측성 댓글들이 한 기사의 댓글창을 점령할 경우 여론을 왜곡하는 단점이 있었다.

실시간 토론도 가능해졌다. 9일 '인구 소멸' 문제를 다룬 한 기사의 타임톡엔 "복지를 확충해야 한다" "인구 수가 많아야 복지도 확충하는 것" 등 다른 이용자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동의하거나 반박하는 순기능이 실현됐다.

하지만 타임톡은 기존 댓글 시스템이 아닌 채팅창에 더 가까운 만큼 기존 장점들을 지켜내진 못했다. 댓글을 쓰지 않고도 빠르고 편리하게 의견을 간접 표명할 수 있었던 '좋아요'(찬성)와 '싫어요'(반대)가 사라지고 인기 댓글 상단 노출이 사라지면서 한눈에 여론을 파악하기 어려워졌다. 과대 대표 부작용이 줄어든 대신 편리성이 축소됐다.

댓글 '도배'(동일한 댓글을 여러 번 올리는 것) 현상도 일어났다. 채팅창엔 도배 방지 시스템이 적용됐지만 시스템상 한계로 띄엄띄엄 올라오는 동일한 댓글까지 전부 걸러내진 못했다. 일부 기사의 타임톡에서 같은 댓글이 잊을만 하면 올라와 피로감이 느껴졌다.

또한 실시간 채팅창과 같은 방식 때문에 이용자들이 문장을 잘라서 따로 올리거나 아무런 내용이 없는 단순 오타 글('ㄱㄱ''ㄴㄴ' 등)을 올리는 빈도 수가 높아진 것으로 보였다.

24시간만 활성화되는 점도 아쉬운 대목이다. 댓글창은 며칠 전, 수년 전 기사를 찾아볼 때 독자들의 반응을 파악할 수 있는 창구였기 때문이다. 다음 측은 "이용자들이 해당 기사를 활발히 읽는 시간을 고려한 것"이라고 24시간 제한을 둔 이유를 설명했다.

타임톡은 현재 임시 서비스로 운영되고 있어 이용자 추이와 반응에 따라 정식 서비스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계의 '이단아'로 등장한 타임톡 서비스가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hi_na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