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EU 과불화화합물 사용 제한 추진에 정부-업계, 대응방안 모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럽연합, 9월까지 의견수렴…2025년 사용 제한 여부 결정

뉴스1

ⓒ News1 장수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임용우 기자 = 정부가 EU의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 제한 움직임에 대한 대응방안 모색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한국생산성본부(KPC)에서 배터리, 반도체, 자동차, 섬유, 정밀화학 등 업계와 간담회를 갖고 EU의 PFAS 사용 제한 동향에 따른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PFAS는 열에 강하고 물이나 기름을 막는 특성을 가져 산업 전반에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쉽게 분해되지 않고 인체와 환경에 축적된다.

독일, 네덜란드 등 5개국이 사용 규제를 제안해 유럽화학물질청은 오는 9월까지 의견수렴에 들어갔다. 사용 제한 여부는 2025년 결정될 전망이다.

간담회에서 산업부는 현재 EU 제한 조치 동향과 향후 절차, 산업계의 과불화화합물 활용과 대체물질 개발 현황 등을 공유했다.

산업부는 이달 말 예정된 2023 화학물질 규제 대응 세미나를 통해 EU와 미국의 과불화화합물 규제 동향을 전파하고, 협회 차원의 공동 대응을 위한 의견제출 수요조사 실시할 예정이다.

또 산업부는 일선 기업이 필요한 경우 맞춤형 컨설팅 지원과 대체물질 연구개발 기획을 검토할 방침이다.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점차 강화되는 글로벌 환경규제에 우리 기업이 선제적으로 대응해 수출경쟁력을 잃지 않도록 관련 업계와 소통을 강화하겠다"며 "향후 규제가 구체화되면 공식 대화채널을 통해 EU에 우리 정부 입장을 정리해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phlox@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