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8 (수)

이슈 전국 '코로나19' 현황

‘평생직장’은 옛말··· 코로나19 거리두기 속 ‘이직 러시’는 뜨거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2021년 일자리이동통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고용 시장이 경직돼 있던 지난 2021년에도 일자리를 옮긴 근로자 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한 근로자 3명 중 1명은 월급이 깎여도 감수하고 일자리를 옮겼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021년 일자리이동통계에 따르면 2021년 4대 사회보험 등 공공기관 행정자료에 가입된 근로자를 뜻하는 등록취업자가 2549만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1년 전인 2020년 2483만 2000명에 비해 약 2.7% 증가한 수준이다.

이 중 2021년 다른 기업체로 이동한 근로자는 396만 2000명으로, 전체 등록취업자의 15.5%를 차지했다. 1년 새 7.9%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이직을 하지 않고 동일한 기업체에서 일한 유지율은 1.8%, 제도권 밖 취업이나 비경제활동 등으로 미등록자 상태였다가 등록취업자가 된 진입률이 1.5%에 그친 것과는 대조적이다.

연령별로는 만 15~29세에서 20.9%가 이동해 가장 높았다. 재작년 청년 근로자 5명 중 1명은 일자리를 옮긴 것이다. 30대에서도 15.9%, 60대 이상에서 14.7%로 뒤를 이었다. 2020년에 비해 전 연령대에서 이동률이 증가한 반면, 같은 기업에서 그대로 일하는 근로자 비율은 50대와 60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했다.

재작년 이동한 근로자 36.4%는 임금이 깎이더라도 다른 일자리로 이동했다. 60대 이상 이직자 중 임금을 깎고 이동한 경우가 44.6%로 전 연령을 통틀어 가장 높았다. 50대에서는 40.7%, 40대 36.9% 등 연령이 낮아질수록 임금을 깎으면서 이을 하는 근로자가 줄어들었다. 공공일자리 등이 포함된 비영리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이직한 이동률은 33.3%로 1년 전에 비해 2.6%가 올랐다. 공공 일자리보다 민간 일자리로 향하는 근로자가 늘었다는 뜻이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5년 내 일자리 이동 비율을 살펴보면 2016년을 기준으로 1년 내 이동률은 16.6%, 2년 내 이동률은 23.6%로 7%가 널뛰어 이 기간 이동률이 가장 크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년과 3년 사이엔 3.9%, 3년과 4년 사이엔 2.6% 등 이동률 증가폭은 갈수록 완만해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해가 지날수록 이동률이 완만하게 증가하는 부분에 집중해 5년 내 37.6%의 근로자가 유지되는 이유가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곽소영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