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1인 가구 늘어나”… 노후 고시원 리모델링한 ‘서울형 공공기숙사’ 시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가 1~2인 가구 주거 지원을 위해 내놓은 주거안정대책인 ‘서울형 공공기숙사 건립’ 사업에 시동을 걸었다. 시는 서울 신림동 노후 고시원 리모델링 사업을 시작으로 공공부지에 서울형 공공기숙사 건립할 예정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의회는 지난 1일 ‘서울 1~2인 가구를 위한 서울형 공공기숙사 공급 및 운영 방안 용역’ 공고를 냈다. 과업 기간은 착수일로부터 3개월이며, 예산은 3500만원이다. 입찰 마감일은 오는 13일이다.

서울형 공공기숙사는 1~2인 가구를 위한 주거공간과 공유주방, 세탁실, 도서관 같은 생활편의시설을 갖춘 기숙사 형태의 공공 지원 주거시설이다. 노후 고시원을 매입해 리모델링을 하거나, 정비사업 공공기여로 확보한 부지를 활용해 청년과 노약자를 비롯한 주거취약 1~2인 가구가 주거할 수 있도록 공공기숙사를 건립한다.

서울시의회는 서울의 1~2인 가구 증가에 따라 정책적 대응 필요성이 증가해 용역을 발주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를 통해 서울형 기숙사의 공급·운영 모델을 개발하고, 사례 대상지를 선정·분석해 모델별 사업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또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공동체주택 등의 현행 금융지원을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서울시의회 관계자는 “서울시청에서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시의회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 용역은 그에 대한 근거 자료를 확보하겠다는 차원”이라며 “입찰을 진행한 이후에 서울시에서 공공기숙사를 담당하는 부서와 구체적인 사업 진행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간 서울의 1~2인 가구 주거 문제는 꾸준히 제기돼왔다. 실제 지난 2010년 대비 2021년 서울의 1인 가구는 74.3%, 2인 가구는 35.2% 증가했다. 특히 서울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와 비교해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여 있다. 2020년 기준 1인 가구의 단독주택 거주 비율은 40%, 고시원 등 거주 비율은 8.3%였다. 반면 전체 가구의 단독주택 거주 비율은 26.9%, 고시원 등 거주 비율은 2.8%에 불과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2022년 11월 30일 ‘촘촘한 주거안전망 확충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지·옥·고(반지하·옥탑방·고시원) 등 최저 주거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환경에 거주하고 있는 주거취약계층을 서울형 공공기숙사 등을 통해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울형 공공기숙사 건립은 이미 가시화 된 상황이다. 시는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SH에서 매입한 서울 신림동 노후 고시원에 대해 리모델링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기부채납을 받도록 계획을 수립했던 북아현3구역, 광운대 역세권 등 대학 밀집지역 부지에도 공공기숙사를 건립할 계획이다.

건설사 등 민간 참여도 독려할 방침이다. 시 측은 최근 진행한 반지하 리모델링 사업에 건설사, 비영리단체, 금융권 등이 참여한 것과 같이 공공기숙사 건립에도 민간과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공공 재정 투입은 한계가 있는 만큼, 민간 자원을 연계해 지속가능한 사업을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기존의 노후된 고시원의 숫자를 줄이고, 다중생활시설에 대한 건축 조례에 따라 보다 나은 환경을 갖춘 새 고시원을 짓겠다는 방침”이라며 “공공기숙사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1인 가구, 장기적으로는 2인 가구들까지 쾌적하게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상화 한국주거환경학회 회장은 “공공기숙사는 주거지원 정책 중에서도 목돈이 필요한 임대주택의 맹점을 대체해줄 수 있는 주거 사다리 역할을 분명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며 “다만 주거 만족도 향상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만큼 주거 면적이나 입지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어야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채민석 기자(vegemi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