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 대비 57억 달러 감소…세계 9위
![]() |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23년 5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209억8000만 달러로 전월 말(4266억8000만 달러)보다 57억 달러 감소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지난달 미국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달러환산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57억 달러 감소했다. 이는 3개월 만의 감소 전환이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23년 5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209억8000만 달러로 전월 말(4266억8000만 달러)보다 57억 달러 줄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8월(-21억80000만 달러), 9월(-196억6000만 달러), 10월(-27억6000만 달러) 등 석달 연속 줄었다. 원·달러 환율이 안정세를 보인 11월(20억9000만 달러), 12월(70억6000만 달러), 올해 1월(68억1000만 달러)에는 3개월 연속 늘었다. 2월(46억8000만 달러)엔 환율이 다시 오르면서 4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지만 3월(7억8000만 달러)에는 다시 증가 전환해 2개월 연속 상승했다.
![]() |
한국의 외환보유액 추이. /한국은행 자료 캡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달 달러화 가치는 상승했다. 지난달 말 기준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미 달러화 지수인 달러인덱스(DXY)는 104.17로 4월 말(101.50)보다 2.6% 올랐다.
미 달러화가 평가 절상되면서 달러화가 아닌 유로화·파운드화 등 다른 외화자산을 미 달러로 환산한 외화자산이 줄었다. 유로는 미국 달러화 대비 2.7% 절하됐고, 영국 파운드도 가치가 0.7% 떨어졌다.
외환보유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국 국채, 정부기관채, 회사채 등 유가증권은 3789억6000만 달러(90.0%)로 전월대비 46억2000만 달러 늘었다.
현금성 자산인 예치금은 100억2000만 달러 줄어든 178억2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국제통화기금(IMF) SDR(특별인출권)은 147억1000만 달러(3.5%)로 전월보다 2억3000만 달러 줄었다. IMF포지션(출자금액의 25%에 해당하는 인출금액)은 7000만 달러 줄어 46억9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금은 47억9000만 달러로 전달과 같았다.
![]() |
4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267억 달러 수준으로 세계 9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은행 자료 캡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4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267억 달러 수준으로 세계 9위를 기록하고 있다. 1위인 중국이 3조2048억 달러, 2위인 일본이 1조2654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이어 스위스(9008억 달러), 러시아(5958억 달러), 인도(5901억 달러) 순이다.
seonyeo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