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이슈 불붙는 OTT 시장

넷플 요금제 개편에 피 마르는 토종 OTT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인 간 '공짜' 계정 공유를 막는 넷플릭스의 새 요금 정책 시행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엔데믹 이후 가뜩이나 OTT 소비에 보수적으로 돌아선 이용자들이 공짜 계정 유료화 여파로 토종 OTT 계정을 포기하고 넷플릭스로 갈아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지난 1년간 국내 OTT 3사 이용자 수는 18% 급감한 데 비해 넷플릭스는 오히려 2% 증가하는 등 국내 OTT 시장에서 넷플릭스 승자 독식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4일 모바일인덱스 집계를 보면 지난 4월 기준 넷플릭스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1173만명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1153만명) 대비 20만명이 늘어나는 성과를 거둔 것이다.

반면 지난해 KT의 OTT 플랫폼 '시즌'과 합병으로 부동의 국내 1위 OTT 플랫폼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았던 '티빙'은 올해 4월 490만명에 그쳐 작년 같은 기간(530만명·티빙 386만명+시즌 144만명) 대비 8% 감소했다.

국내 지상파 방송 3사와 SK스퀘어가 지분을 가진 '웨이브' 상황도 비슷하다. 웨이브의 작년 MAU는 433만명이었는데 올해 380만명으로 무려 53만명 감소했다. 특히 심각한 경영난에 휩싸인 '왓챠'는 작년 112만명에서 올해 74만명으로 34% 추락했다.

엔데믹을 계기로 이용자 수가 빠르게 줄면서 토종 3사의 수익성도 최악의 위기에 봉착했다.

티빙의 작년 영업손실 규모는 1191억원으로 최근 3년(2020~2022년) 누적 영업손실이 2014억원에 이른다. 웨이브 역시 지난해 121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며, 3년 누적 영업손실액이 1940억원에 달한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던 웨이브는 최근 6개월 새 두 차례의 유상증자를 통해 1151억원의 운영자금을 긴급 수혈했다. 웨이브는 긴급 수혈한 운영자금을 오리지널 콘텐츠 투자와 함께 글로벌 시장 진출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시장을 독식하고 있는 넷플릭스가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 전개하는 이른바 '마른 수건 쥐어짜기' 전략도 토종 OTT들의 수익성 악화를 부채질하고 있다. 작년 말 넷플릭스는 국내 시장에 '광고요금제'를 도입하면서 이용자가 급락한 토종 3사와 달리 오히려 이용자 수를 1년 새 2% 더 키우는 성과를 거뒀다.

여기에 광고주들이 넷플릭스 광고요금제에 호응해 자사 광고를 적극 노출시키면서 넷플릭스는 국내 시장에서 한 해 3000억원 안팎의 추가 수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넷플릭스가 조만간 국내 시장에 도입할 것으로 보이는 '공짜 계정 유료화' 정책도 레드오션으로 치달은 국내 OTT 시장에서 토종 업체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변수다.

국내 OTT 업계 인사는 "넷플릭스의 공짜 계정 차단이 시행되면 넷플릭스를 더 이상 무료로 보지 못하는 이용자들이 토종 OTT를 코드커팅(서비스 해지)하고 넷플릭스의 저렴한 광고요금제 등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고 염려했다. 시장 지배적 사업자인 넷플릭스가 엔데믹 국면에서 도입한 '광고요금제'와 '공짜 계정 차단' 등 공격적 요금제 개편이 자사 수익성 강화를 넘어 경쟁사를 고사시키려는 고도의 계산이 깔려 있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넷플릭스가 물량 공세로 콘텐츠 제작 단가를 높인 데 이어 넷플릭스발 저가 요금제 확대까지 더해지면서 신규 이용자 확대는 고사하고 기존 이용자 붙들기조차 어려운 상황에 내몰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