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0 (금)

도시 한복판에 나타난 낯선 곤충들… “모두 해충은 아니에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불어 사는 ‘공존의 지혜’ 필요

급증한 동양하루살이-러브버그 등 사람에 병 옮기지 않는 무해한 곤충

피해 줄이고 공존하며 살기 위해선 친환경적인 방제책-예방책 찾아야

동아일보

24일 인천 서구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생물연구팀 연구실에서 박선재 연구관이 현미경을 통해 곤충을 살펴보고 있다(오른쪽 사진). 최근 갑작스럽게 개체수가 늘거나 외래에서 유입된 곤충들로 인한 시민들의 민원이 늘고 있다. 기후변화, 국제교류 증가, 도심 생태계 개선 등으로 인해 낯선 곤충의 출현이 더 잦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돗물에서 발견돼 논란이 된 깔따구 유충은 사실 물속에서 유기물을 분해해 물을 깨끗하게 만들기 때문에 인간에게 익충에 가까운 존재입니다.”

지난해 생긴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생물연구팀은 ‘문제적 곤충’들을 연구하고 있다. 갑자기 개체수가 증가(대발생)해 민원이 늘었다거나 그럴 가능성이 있는 곤충들이다. 2020년 인천의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되면서 시민들에게 공포감을 줬던 깔따구에 대해 박선재 연구관은 “보기에 혐오스러울 뿐 무해한 곤충”이라고 말했다.

동아일보

노랑털깔다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몸길이 1cm에 황갈색을 띤 깔따구 성충은 모기와 흡사하지만 입이 퇴화해 아무것도 먹을 수 없다. 박 연구관은 “깔따구와 접촉하거나 날아다니던 성충이 입에 들어가면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긴 하지만 실제 국내에서 보고된 사례는 없다”고 했다.

● “무해한 곤충들”… 급증 원인 다양


동아일보

동양하루살이 


성충이 되면 몸길이 1∼2cm에 옅은 갈색을 띠는 동양하루살이 역시 입이 없다. 물지도 않고 병을 옮기지도 않는다. 성충이 되면 단 며칠간 짝짓기만 하고 죽는 무해한 곤충이다. 박 연구관은 “유충일 때는 오히려 많은 동물의 먹이가 되는 중요한 1차 소비자”라며 “동양하루살이가 사라지면 물속 생태계가 망가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자원관이 이런 곤충들을 별도로 연구하는 팀을 만든 이유는 최근 들어 곤충과 관련한 신고나 이슈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립생태원에 따르면 2017년 부산항에서 발견돼 전 국민을 공포로 몰아넣은 일명 ‘살인개미’ 붉은불개미 사건 이후 “못 보던 곤충이 나왔으니 확인해달라”는 식의 신고가 매년 100건 이상 접수되고 있다.

생태원 외래생물팀에서 곤충을 담당하는 이희조 전임연구원은 “언론에서 곤충 소식이 보도되고 나면 특히 신고 건수가 급증한다”며 “최근 서울 강남에서 외래종 흰개미가 발견됐다는 소식이 보도되고 나서 사흘간 50건이 넘는 신고 전화가 들어오기도 했다”고 전했다.

동아일보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 


하지만 이렇게 민원의 대상이 되는 곤충 중 다수는 인간에게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는 종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지난해 서울 은평구에서 대발생한 일명 ‘러브버그’라는 털파리도 마찬가지였다. 박 연구관은 “2017, 2019년 여름 동해안에서 대거 나타나 지자체가 긴급방역에 나섰던 홍딱지바수염반날개는 크기가 큰 데다 공격당하면 사람을 물기 때문에 공포감을 줬다. 이 벌레 역시 사실 해충인 파리를 먹어 치우는 익충”이라며 “여름 피서지에서 발생한 이유도 야외 캠프장, 관광지에 쓰레기가 늘면서 파리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갑자기 곤충이 대거 발생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자원관 환경생물연구팀은 그 이유를 찾아내기 위해 애쓰고 있다. 기후변화로 겨울이 따뜻해져 월동 기간 많이 살아남는 게 가장 큰 원인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특정 지역에만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박 연구관은 “대발생 지역의 생태환경 개선, 먹이의 변화 등도 원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도 “도심에 공원이 많이 생기고 하천도 있는데 이곳이 다 곤충들의 생활 터전”이라며 “이들 생태계가 개선되며 늘어난 곤충이 도시의 먹이나 조명을 따라 넘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습지보호지역, 산림보호구역 등 자연을 보전하기 위해 개발을 제한한 국가보호지역은 2011년 전국 면적의 6.23%에서 2021년 17.15%로 10년 새 3배 가까이 늘었다. 1인당 도시공원 조성 면적도 같은 기간 8.3㎡에서 11.6㎡로 증가했다.

● 해충·교란종도… “연구로 대비해야”


동아일보

대벌레 


물론 최근 늘어난 곤충들 중 해충이나 생태계 교란 생물이 될 여지가 있는 외래유입종도 있다. 2020년 서울 은평구 봉산 등에서 대발생했던 대벌레는 가로수나 과수에 피해를 줘 해충으로 분류됐다. 최근 인천 연수구의 한 신축 아파트에서 대거 발생했다는 혹파리도 해충이다.

동아일보

마른나무흰개미 


동아일보

붉은불개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미국선녀벌레 


얼마 전 강남의 한 가정집에서 발견된 마른나무흰개미류나 과거 이슈였던 붉은불개미,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등은 국내 생태계를 망가뜨릴 수 있는 외래종이다. 이들 중 일부는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되기도 했다. 해충이나 외래종이 아니어도 곤충이 떼를 지어 나타나면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주거나 불편을 끼친다.

이원훈 경상국립대 식물의학과 교수는 “해충이든 아니든 중요한 건 국제교역량이 늘고 도심 곳곳에 재자연화한 장소들이 늘면서 그동안 사람들이 접하지 못했던 곤충을 볼 기회가 늘었다”며 “이들 중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종도 있고 그렇지 않은 종도 있는 만큼 미리 그런 종을 연구해놓고 효과적인 방제책, 예방책을 강구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연구관은 “곤충 민원이 들어올 때마다 지자체에서 화학적 방제에 나서는데 오히려 이때 뿌리는 약품이 사람의 건강을 해치고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병원성 미생물이나 먹이 등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방제법을 찾고 있다. 최대한 생태계에 피해를 주지 않는 공존의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생태계 교란 생물이나 생태계 위해 우려 생물 종류는 국립생태원이 운영하는 ‘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종으로 의심되는 곤충을 발견했을 때는 국립생태원 외래생물 신고센터로 신고하면 된다.

이미지 기자 image@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