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국 안보·경제 공조 의지 재확인
北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 공유
한일, 바이든 초청 워싱턴行 신중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21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운데)가 지켜보는 가운데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히로시마(일본)·서울=서영준 김학재 기자】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1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열린 일본 히로시마에서 만나 북핵 및 경제협력 등 안보와 경제 두 축을 중심으로 한 한·미·일 3국 간 공조 강화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비록 만난 시간은 10분도 채 안 되는 시간이었지만 G7 정상회의 기간 빡빡한 일정 속에 3국 정상이 다시 자리를 함께한 것은 북핵 위협 외에도 공급망 협력 등 경제안보와 같은 주요 현안에 있어 한·미·일 3국 공조가 공고함을 확인시키기 위한 의지로 풀이된다. 이에 한·미·일 3국은 공동발표 형식은 아닌 개별 발표임에도 3국 간 협력을 '새로운 수준' '새로운 차원' '구체적 협력 전진' 등의 표현으로 더욱 강화할 것임을 밝혔다.
■짧은 만남…공조 의지 재확인
한·미·일 3국 정상은 이날 오후 한자리에 모여 G7 의장국인 일본의 기시다 총리를 중심으로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양옆에 나란히 서서 기념사진을 찍었다.
이후 3국 정상은 10분 남짓한 시간 환담을 나누면서 회동 자리를 마무리했다.
한·미·일 3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회담한 이후 6개월 만이다.
당시 3국 정상은 공동성명을 채택했으나 이번에는 각자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을 만나 "한·미·일 3국 정상이 길게 앉아 얘기할 시간이 없어 서로 발표할 문안과 내용은 이미 조율을 했다"며 "실제 미팅은 짧아도 세 나라가 각자 조금씩 다른 콘셉트로 본인이 강조하고 싶은 문장을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3국 정상은 모두 한일, 한미, 미·일 양국 관계가 개선·발전하는 상황을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3국 간 협력도 더욱 발전하게 될 것임을 강조했다.
이에 발맞춰 기존에 합의됐던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의 실시간 공유 등 3자 안보협력 외에도 인도태평양 지역 전략에 관한 3국 공조를 강화하고 태평양 도서국에 대한 관여 등으로 공조범위를 대폭 확대했다.
이 과정에서 반도체 공급망 구축 협력 등 경제안보 분야의 협력 강화는 당연한 수순으로 여겨진다.
한편 외신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를 미국으로 초청했다고 보도한 가운데 용산 대통령실은 어떠한 입장도 내놓지 않아 추진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특정한 이슈를 놓고 한일 양국 정상이 나란히 미국을 방문하는 것은 이례적인 만큼 한일 양국 모두 신중한 행보를 보일 것으로 관측된다.
■한미 정상, 친교 만찬서 현안 논의
이번 G7 정상회의에서 공식적인 한미 정상회담은 열리지 않았으나 윤 대통령은 전날 열린 친교만찬에서 바이든 대통령 바로 옆에 앉아 현안들을 두고 의견을 나눴다.
전날 오후 9시부터 2시간 동안 진행된 만찬에서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다양한 주제를 놓고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은 G7 정상회의 친교만찬에서 일본측 배려로 주최국 정상 기시다 총리의 대각선 맞은편, 미국 바이든 대통령과는 옆자리에 착석해 다양한 주제를 놓고 심도 깊은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핵심관계자는 이와 관련, "G7 참석국가 정상 대부분이 윤 대통령과 회담을 하고 싶어했는데, 한미 회담은 미리 잡지 않았다"며 "국빈방미에서 워싱턴선언 같은 큰 성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최근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굵직한 현안 논의가 있었던 만큼 형식적 만남보다 만찬을 통해 속 깊은 논의를 했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