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매년 참석하겠다"는 약속 지켜
"오월 정신으로 우리 하나 돼" 통합 강조
'5·18 헌법수록' 원포인트 개헌엔 온도 차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기념사하고 있다. 광주=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은 18일 "오월 정신은 자유민주주의 헌법 정신 그 자체이고 우리가 반드시 계승해야 할 소중한 자산"이라고 밝혔다. "오월 정신은 헌법 정신 그 자체"라고 의미를 부여하며 더불어민주당이 요구한 5·18광주민주화운동의 헌법 전문 수록을 위한 '원포인트 개헌'에는 온도 차를 보인 셈이다. 그러면서 "오월 정신 아래 우리는 하나"라며 국민 통합의 메시지를 강조했다.
"매년 참석" 약속 지킨 윤 대통령
윤 대통령은 이날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다. 보수정당 출신 대통령이 2년 연속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처음으로, 지난해 5·18 기념일 당시 유공자 유족과 비공개 환담에서 "매년 참석하겠다"고 약속한 것을 지킨 것이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광주는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지켜낸 역사의 현장이었다"며 "(오월 정신은) 우리를 하나로 묶는 구심체"라고 강조했다. 여야를 불문하고 정치권이 총집결한 기념식에 '국민 통합'이란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이어 "오월의 정신으로 우리는 모두 하나가 됐다"며 "오월의 정신 아래 우리는 모두 하나"라고 거듭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국립5·18민주묘지 조문록에도 '오월의 정신 아래 우리는 하나입니다'라고 적었다.
취임 후 줄곧 강조하고 있는 자유민주주의 가치와 오월 정신을 연결 짓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가 오월의 정신을 잊지 않고 계승한다면 우리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모든 세력과 도전에 당당히 맞서 싸워야 하고 그런 실천적 용기를 가져야 한다"며 "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하는 안팎의 도전에 맞서 투쟁하지 않는다면 오월의 정신을 말하기 부끄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묵념하고 있다. 광주=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광주·호남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지원 의사도 분명히 밝혔다. 윤 대통령은 "오월의 정신은 자유와 창의, 그리고 혁신을 통해 광주와 호남의 산업적 성취와 경제 발전에 의해 승화되고 완성된다"며 "광주와 호남이 자유와 혁신을 바탕으로 AI(인공지능)와 첨단 과학 기술의 고도화를 이루어내고, 이러한 성취를 미래세대에 계승시킬 수 있도록 대통령으로서 제대로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모두 오월의 정신으로 위협과 도전에 직면한 우리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고 실천하며 창의와 혁신의 정신으로 산업의 고도화와 경제의 번영을 이루어내야 한다"며 "그것이 오월의 정신을 구현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오월의 어머니들과 입장해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기념식에 앞서 윤 대통령은 5·18 당시 가족을 잃은 '오월의 어머니' 15명과 5·18민주묘지 정문인 '민주의 문'을 통해 5·18 기념탑 앞 행사장까지 함께 걸었다. 통상 정부 측 인사들과 함께 입장하던 관례에서 벗어나 유족에 대한 예의를 갖추겠다는 대통령의 뜻이 반영된 것이다. 윤 대통령은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에도 우비나 우산을 쓰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도 "오늘 이 자리에 오월의 어머니들이 함께하고 계신다"며 "사랑하는 남편, 자식, 형제를 잃은 한을 가슴에 안고서도 오월의 정신이 빛을 잃지 않도록 일생을 바치신 분들"이라고 호명했다. 이어 "애통한 세월을 감히 헤아릴 수 없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는 분들의 용기에 다시 한번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에 이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참석자들과 함께 불렀다. 오른 주먹을 쥐고 흔들며 끝까지 불렀고, 제창이 끝나자 옆자리 오월의 어머니들에게 허리를 숙여 인사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앞서 오월어머니회 회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념식을 마친 뒤에는 고(故) 전영진·김재영·정윤식 열사 묘역을 참배했다. 1980년 5월 당시 대동고 3학년이던 전 열사는 휴교령이 내려져 수업을 받으러 집을 나섰다가 계엄군에 구타를 당했고, 이후 시위에 참여했다가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다. 윤 대통령은 전 열사 부모님의 손을 꼭 잡으며 "학생이 국가권력에 의해 돌아오지 못하게 돼 그 마음이 얼마나 아프시겠냐"고 위로의 말을 했다고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5·18 당시 시신을 찾지 못한 희생자 등의 영정을 모신 유영봉안소를 찾았다. 이 자리에서 윤상원·윤한봉·명노근·김녹영 등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싸운 고인들의 사연을 듣고 명복을 빌었다. 김은혜 홍보수석은 "윤 대통령이 가족들이 묻혀 있는 묘지를 찾아온 유가족들이 도시락도 드시고 쉬실 수 있도록 (묘역 입구의) 민주관 쉼터를 확장해 공간을 확보해드리도록 하라고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에게 지시했다"고 전했다.
김현빈 기자 hbkim@hankookilbo.com
김지현 기자 hyun1620@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