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리포트]고사 위기 홈쇼핑 ③
홈쇼핑 업계가 주장하는 홈쇼핑사 매출대비 송출수수료 비중/사진=이지혜 디자인 기자 |
홈쇼핑 송출수수료 합리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마련 됐지만 홈쇼핑업계와 유료방송사간 견해차는 여전하다.
홈쇼핑 업계는 업황 부진 등을 근거로 송출수수료 인하를 주장하는 반면 유료방송사에서는 홈쇼핑 매출이 모바일 매출로 이전된 만큼 업황이 나빠진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일각에서는 송출수수료 가이드라인 개정 이전에 협상을 시작한 경우 가이드라인 소급 적용에 대한 입장도 달라 협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지난 3월 발표한 '홈쇼핑 방송채널 사용계약 가이드라인' 개정안은 송출수수료를 유료방송사가 정해 홈쇼핑사에 '통지'하던 방식에서 홈쇼핑사와 '협의'하도록 한 것을 골자로 한다.
△양 사업자의 수익구조 △유료방송 방송 사업 매출 증감 △물가상승률 등은 대가 산정 고려요소에서 삭제됐다. 초안에서 언급되던 조정계수 빠졌다. 홈쇼핑 업계에서 유료방송사가 정확한 정보 공개 없이 수수료 인상의 근거로 삼아왔다고 반발하던 항목들이다.
대신 △홈쇼핑 상품 판매 매출 증감 △유료방송 가입자수 증감을 수수료 산정요소로 정하고 있다. 또 모바일·인터넷에서 판매된 방송상품 판매총액과 시청데이터 등 홈쇼핑 방송과 관련된 증감요소를 고려해 어느 정도를 반영할지 사업자가 합의하도록 바뀌었다.
홈쇼핑 업계는 이번 조치로 송출수수료를 합리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홈쇼핑 업계 관계자는 "아직 협상이 진행중이지만 송출수수료 산정 기준이 구체화된 만큼 송출수수료 협상의 균형을 맞추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B홈쇼핑 관계자는 "서로간의 매출과 가입자수를 근거로 협상을 마무리 지어도 '조정계수'를 곱해 수수료를 정하다보니 다른 수수료 산출 근거가 무력화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아무런 근거없이 수수료를 인상시키는 요인이었던 조정계수가 없어진 것만해도 큰 진전"이라고 말했다.
유료방송사들도 홈쇼핑이 무너질 경우 방송사 존립자체가 위협받는다는 점에서 이번 송출수수료 개편안을 지지한다. C 통신업계 관계자는 "송출수수료는 유료방송 플랫폼을 유지하는 원천"이라며 "방송사와 홈쇼핑사가 윈-윈해 지속가능한 관계를 유지하는 방안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양쪽 모두 표면적으로는 이번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합리적 대안을 마련하길 기대하지만 문제는 서로가 생각하는 '합리적 대안'이 다르다는 점이다. 아직 협상 초반이라 구체적인 논의로 이어지지 않은 곳이 많지만 개정안이 제시한 가격 산정기준에 대한 '관점차'는 서로 확인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홈쇼핑 업계에서는 매출감소, 유료방송 가입자수 감소에 방점을 찍고 수수료 '인하'를 주장하는 반면 유료방송사업자는 모바일과 온라인 판매 총액에 방점을 찍고있다.
홈쇼핑사는 송출수수료가 매출의 60% 수준에 달하는 상황이라 송출수수료가 더 인상된다면 더 이상 사업이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실제 올해 1분기 CJ온스타일과 GS샵, 현대홈쇼핑, 롯데홈쇼핑 등 상위 매출 4사의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32.4% 감소했다. 매출도 5.4% 줄었다.
특히 TV 시청자수가 줄어 들어 홈쇼핑 업황도 나빠지는 상황이라 송출수수료도 그에 맞춰 낮춰야 한다고 말한다. 매출과 시청자수가 모두 줄어든 만큼 인하는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반면 유료방송사업자는 홈쇼핑 사업자들이 앱으로 결제할 경우 할인혜택을 제공하는 등 홈쇼핑 매출을 모바일로 유도하고 있다고 반박한다. 방송업계 관계자는 "송출수수료가 방송사업 매출액의 60% 수준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모바일을 포함할 경우 실제 송출수수료의 비중은 매출의 31% 수준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만큼 송출수수료 인상 여지도 있다는 얘기다.
3월에 발표된 가이드라인의 소급적용 여부도 협상과정에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일부 유료방송사는 올해 초부터 송출수수료 협상을 시작했으니 이전 버전의 가이드라인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홈쇼핑사는 협상 시작 시기와는 별개로 올해 송출수수료 협상분은 개정된 가이드라인을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과기정통부도 올해 협상분은 개정된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것이 맞다는 입장이지만 아직 협상 현장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유료방송사 관계자는 "이미 수개월 동안 진행한 협상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김민우 기자 minuk@mt.co.kr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