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언론인 트라우마 첫 실태 분석…오는 19일 가이드북 발표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국내 언론인들이 직무상 트라우마를 어떻게 겪고 있는지 그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논의하는 행사가 처음으로 열립니다.

한국기자협회와 한국여성기자협회, 방송기자연합회가 구성한 '언론인 트라우마 위원회'는 다트센터, 구글뉴스이니셔티브와 함께 오는 19일 오후 2시 30분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언론인 트라우마 실태 및 가이드북 1.0 발표회'를 엽니다.

지난해 10·29 이태원 참사를 비롯해 우크라이나 전쟁, 지난 2월 튀르키예 지진 등 국내외 대형 사건사고 현장에서 취재를 하는 만큼 기자는 경찰이나 소방관, 응급구조 요원들처럼 트라우마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직업군으로 꼽혀왔습니다.

미국에선 지난 2001년 9.11 테러 이후 언론인의 트라우마 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됐고 국내에선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이 문제가 거론되기 시작했습니다.

'언론인 트라우마 위원회'는 구체적인 실태 파악을 위해 이화여대 트라우마센터와 트라우마 관련 언론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했고 해당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트라우마센터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등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언론인과 트라우마 관련 가이드북을 제작했습니다.

이날 있을 발표회 1부에서는 언론인 트라우마의 실태에 대해 다각적인 분석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안현의 이화여대 심리학과 교수가 언론인 트라우마의 구체적인 실태 파악을 위해 진행한 FGI의 결과를 통해 트라우마 현상과 원인, 시사점 등을 발표합니다.

이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인 정찬승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가 '언론, 트라우마에 공감하다'란 주제로 의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언론인 트라우마 문제의 심각성을 분석합니다.

일선 현장에서 상담을 진행해 온 문일경 KBS보도본부 전담 상담사는 '이태원 참사 상담사례로 본 언론인 트라우마'에 대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2부에서는 언론인 트라우마 대응 방안이 다뤄집니다.

언론인 트라우마 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정애 SBS 미래팀장이 언론인 트라우마 가이드북 1.0을 발표합니다.

이 가이드북은 언론인 트라우마 위원회가 언론인 트라우마 설문조사와 이화여대 연구팀의 FGI 결과 등 질적 양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자문을 얻어 마련했으며, 향후 논의 결과 등을 반영해 계속 보완할 예정입니다.

언론인의 트라우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트라우마 증상과 문제, 대응 방법 등을 소개합니다.

실제 취재 및 보도 관련 매 과정마다 언론인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 인지하고 대응해야 하는 트라우마 관련 내용 등을 담았습니다.

노성철 일본 사이타마대 경제학부 교수는 조직심리 및 인적자원관리의 관점에서 언론인 트라우마와 한국 언론사 조직의 문제를 분석하고 박재영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언론인 트라우마 문제 대응이 필요한 이유와 기자 개인 및 회사 차원의 대응 방안에 대해 조언합니다.

이정애 위원장은 "갈수록 일터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문제가 중요해지는 시대에 언론인의 트라우마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언론사 조직은 물론 언론계가 함께 대응해야 할 이슈"라며 "취재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언론인의 안전 이슈가 대두하는 때에 '언론인 트라우마 위원회'의 결과물이 트라우마에 대해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트라우마 공감 언론'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박하정 기자(parkh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