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이태원 참사

인권위 "이태원 참사 국가 책임 인정해 희생자 존중 애도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2 상황보고서' 발간…철저한 진상규명·책임자 조치 등 촉구

연합뉴스

국가인권위원회
[촬영 이성민]


(서울=연합뉴스) 장보인 이율립 기자 =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는 작년 이태원 참사에 대한 정부 대응에 아쉬움이 있었다면서 국가의 책임을 분명히 인정해 희생자와 유족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애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권위는 이런 내용을 담아 지난해 국내 인권 상황을 평가하고 개선책을 제시하는 '2022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상황보고서'를 발간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해를 '재난·참사 상황에서의 인권 문제가 두드러진 해'라고 평가하며 별도의 장으로 다뤘다.

이태원 참사에 대해 인권위는 "재난·참사의 예방 단계, 발생과 수습 단계, 진상조사와 회복 단계 등 각 단계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드러났다"며 "한국 사회의 재난안전관리와 예방 체계, 국민 안전을 대하는 국가 지도층의 책임 의식에 근본적 변화가 없었다는 것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인권위는 이태원 핼러윈 축제에 많은 인파가 몰릴 것이라 예상됐음에도 관계기관이 안전 관리 대책을 수립하지 않았고 신고가 접수된 후에도 신속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는 등 참사 예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또 진상조사 과정에서 사고 책임자의 처벌 문제, 사망한 희생자와 유가족을 존중하지 않는 방식의 추모와 애도, 혐오 표현과 2차 가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고 짚었다.

인권위는 "재난·참사 상황에서 피해자를 보호하고 이들이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국가의 기본적인 의무"라며 "참사에서 피해자 회복을 위한 위 과정 모두에 상당한 아쉬움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안전한 사회 건설은 시대적 과제이며 정부는 예견된 위험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국민을 보호하지 못한 국가의 책임을 분명히 인정해 이태원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아울러 철저한 진상규명, 책임자에 대한 상응한 조치, 재발 방지 대책 수립 등 필요한 조치가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인권위는 또 지난해 폭우로 신림동 반지하 주택에 살던 일가족이 사망한 사고를 언급하며 주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 밖에도 보고서는 복지 사각지대 속 고독사 문제 등 인간의 기본적인 자유와 관련한 문제, 북한 인권과 노동 문제를 비롯해 장애인·이주민·아동·여성·노인 등 다양한 사회 구성원이 당면한 인권 문제를 담았다.

인권위는 "보고서가 우리 사회 인권의 현주소를 이해하고 인권 보호와 증진에 관한 논의를 한 걸음 더 나아가게 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boin@yna.co.kr

2yulrip@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