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이태원 참사

“이태원 참사 발생 무전 안들렸다” vs “소리 커서 관용차선 들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8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법 앞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200일 즈음한 제대로 된 판결 촉구 기자회견에서 이태원참사 유가족이 가슴에 카네이션과 이태원 참사 뱃지를 달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0·29 이태원 참사’ 당시 현장에 있었던 서울 용산경찰서 소속 경찰관이 8일 재판에서 당일 오후 10시 30분쯤 무전을 통해 참사 발생을 알게 됐다고 증언했다.

서울서부지법 형사합의11부(부장 배성중)는 이날 업무상과실치사상, 허위공문서작성 등 혐의를 받는 이임재 전 용산서장 등 5명에 대한 첫 공판기일을 진행했다. 검찰은 증인으로 출석한 당시 용산서 112치안종합상황실 운영지원팀장 정모씨를 상대로 참사 전후 과정을 집중 신문했다. 정씨는 핼러윈 축제 기간 동안 경찰이 안전 조치를 충실하게 준비했는지, 경찰이 참사 전후 적절히 대응하지 않아 피해를 키웠는지 등을 판단할 핵심 증인으로 꼽힌다.

당시 이태원파출소 밖에 있었던 정씨는 지난해 10월 29일 오후 10시 30분쯤 무전을 통해 참사를 알게 됐다고 증언했다. 정씨는 “모든 가용인력을 보내 달라는 지원요청을 듣고 급박한 상황이라는 걸 인지했다”고 말했다. 검찰은 “(해당 무전은) 관용차처럼 조용한 환경에서는 들을 수 있느냐”고 묻자, 정씨는 “큰 소리였기에 들렸을 것”이라고 답했다. 앞선 공판준비기일에서 이 전 서장 측은 “무전 내용이 잘 들리지 않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송병주 용산서 112상황실장 등이 차도로 쏟아진 인파를 인도로 밀어올리도록 지시했다는 의혹에 대해 정씨는 “이태원 세계음식문화거리 반대 방향으로 가도록 유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작성된 ‘현장조치 상황 1보’에 대해 정씨는 “‘이 서장의 도착 시간이 (사실과) 다른 거 같다’고 했다”면서 “재난재해 상황보고 매뉴얼에서는 시간을 특정하도록 하지만, 확신할 수 없고 허위일 수 있으니 쓰지 않는 게 맞다는 취지로 송 실장에게 말했다”고 진술했다.

경비 기동대를 요청하지 않은 데 대해 정씨는 “핼러윈 기간 다중인파는 용산서에 근무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예상할 수 있었다”면서도 “과거 신고를 봐도 인파 사고 신고는 없었고 교통 기동대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은 서울광장 분향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참사 200일인 16일까지 200시간 동안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행동을 이어 가겠다고 했다. 회견에 참석한 학생 20여명은 어버이날을 맞아 유가족에게 카네이션을 달아 주며 함께하겠다는 뜻을 비쳤다.

김주연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