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0 (금)

재테크 달인 64명 총출동 …'돈 되는 정보' 쏟아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대부분 '상저하고'를 전망하지 않았나요? 그런데 5월을 목전에 둔 지금까지는 '상저'라고 하기 어렵잖아요. 하반기에 어떻게 될지 예측이 너무 어렵습니다."

'2023 서울머니쇼'에 참가하고 싶다고 전화를 걸어온 60대 남성은 올해 재테크 난도가 역대급이라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몇 년 전 퇴직한 후 다양한 투자를 병행하며 현금흐름을 만들어왔는데, 올 하반기는 도무지 투자전략을 짤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차라리 아무것도 안 하는 게 돈 버는 길인가 싶다가도, 2차전지주 이런 걸로 몇 배를 번 사람들을 보면 'FOMO'가 온다"면서 "머니쇼에 가면 길이 좀 보일까 싶어서 신청하고, 간 김에 세미나도 여러 개 들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매일경제

5월 11일 서울 코엑스 B홀에서 개막하는 2023 서울머니쇼 사전등록 신청이 1만2000명을 넘어섰다. 홈페이지에서 사전등록을 하면 머니쇼 입장료와 재테크 세미나가 모두 무료다. 현장등록 시 5000원의 입장료를 내야 하므로, 머니쇼 참가를 원한다면 5월 9일까지 서울머니쇼 홈페이지에서 사전등록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올해는 서울머니쇼 14년 역사상 처음으로 '홍보대사'도 임명했다. 1호 홍보대사는 장안의 화제였던 MBN '불타는트롯맨' 우승자 손태진 씨가 맡았다. 손태진 팬클럽 '손샤인'에서 서울머니쇼 일정을 알게 된 팬들은 "최애도 보고 대박의 기운도 얻어 가겠다"면서 앞다퉈 사전신청을 하고 있다. 손씨는 5월 11일 오전 10시부터 진행되는 개막식에 직접 참석할 예정이다. 머니쇼가 진행되는 코엑스 현장에서는 사흘 내내 재테크 강연이 이어진다. 벌써 인기 세미나는 속속 매진되는 중이다. 어느 때보다 불안한 상황에서 '재테크 일타강사'의 강의를 듣고 싶은 투자자들이 몰렸기 때문이다. 이번 서울머니쇼에서는 역대 최다인 64명의 재테크 전문가가 연사로 나선다. 미·중 갈등, 우크라이나 전쟁, 글로벌 금융 불안 등 거시경제 세미나는 물론 국내외 주식과 부동산시장,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등을 두루 다룬다. 여기에 최근 화두로 떠오르는 생애설계와 노후자금 준비, 아동핀테크 강의도 만나볼 수 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머니쇼 사무국 관계자는 "현재 세미나 예약률이 70%를 넘어섰다. 머니쇼 세미나는 매년 매진이지만 올해는 매진 속도가 예년보다 빠르다"면서 "원하는 세미나가 있다면 예약을 서두르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듣고 싶은 세미나가 매진이라면 유료 재테크 플랫폼 '매경 엠플러스' 회원으로 가입하기를 추천한다. 매경 엠플러스 사이트에서 머니쇼 기간에 세미나를 생중계로 볼 수 있고, 행사가 끝난 뒤 다시보기도 할 수 있다. 단, 다시보기는 연사 의사에 따라 일부 세미나는 제외될 수 있다.

매경 엠플러스 구독료는 월 1만원이고, 연간 멤버십에 가입하면 20% 할인된 9만4800원이다. 회원으로 가입하면 머니쇼 생중계, 다시보기는 물론 국내 대표 투자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수백 개의 재테크 콘텐츠를 볼 수 있다. 머니쇼 전후로 엠플러스에 가입하면 재테크 서적, 머니쇼 자료집 증정 등 다양한 혜택이 있으므로 이 시기를 노리는 것이 좋다. 238개 부스를 돌며 금융사들이 마련한 기념품도 챙기자. 세미나 사이에 쉬는 시간이면 주요 부스에 긴 줄이 늘어선다. 5대 금융지주(은행)와 3대 인터넷은행(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 한화생명과 교보생명, DB손해보험 등 대표 보험사가 부스를 차린다.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카드 등 삼성 금융 브랜드는 공동관을 만들어 통합 앱 모니모와 곧 시작할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홍보할 예정이다.

재테크 열공족을 위해 올해는 휴게공간도 충분히 마련했다. 선착순 입장 및 이벤트 등 다양한 경품을 챙기려면 5월 11일 첫 입장을 노리기를 추천한다. 세미나실 중간에 위치한 매경 엠플러스 부스와 이벤트존을 찾으면 된다. 이벤트 정보는 서울머니쇼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으며, 현장에서 '가이드북'을 참조하면 된다.

[신찬옥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