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윤 대통령, 알링턴 국립묘지 참배…"영원히 잊지 않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알링턴 국립묘지 참배로 '국빈 방미' 둘째 날 일정을 공식 시작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 박진 외교부 장관, 박민식 국가보훈처장 등과 함께 알링턴 국립묘지를 찾아 헌화 및 참배를 했습니다.

미국 측에서는 루퍼스 기포드 국무부 의전장, 필립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 페핀 워싱턴 관구사령관 등이 동행했습니다.

알링턴 국립묘지는 우리의 국립현충원처럼 남북전쟁, 제1·2차 세계대전, 베트남 전쟁 등 참전용사 약 21만 5천여 명이 잠들어 있는 미국 최대 국립묘지 중 하나입니다.

이날 알링턴 국립묘지에는 미군 의장대 90여 명과 군악대 50여 명이 도열했습니다.

묘지 인근에서는 예포 21발이 발사됐습니다.

윤 대통령이 국립묘지에 들어서자 태극기를 든 의장대가 뒤를 따랐습니다.

윤 대통령은 애국가 연주에 맞춰 가슴에 손을 얹고 국기에 경례했습니다.

이어 미국 국가가 연주되자 윤 대통령은 가슴에 얹은 손을 내렸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무명용사탑에 헌화 및 묵념을 했습니다.

헌화대에는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이라고 적힌 태극 문양의 화환이 놓였습니다.

윤 대통령이 헌화대에 올라서자 진혼곡이 연주됐고, 다시 가슴에 손을 얹으며 추모의 뜻을 표했습니다.

참배를 끝낸 윤 대통령은 페핀 관구사령관 안내로 알링턴 국립묘지 기념관 전시실을 둘러보기도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전시실에서 '영원히 잊지 않겠습니다.

더이상 잊혀지지 않을 것입니다'라는 영문 문구가 적힌 기념패를 전달했다고 대통령실 이도운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습니다.

한국전 참전영웅을 기리는 이 기념패는 전통 자개 바탕으로 제작돼 한미 양국 국기 및 한미동맹 70주년 기념로고가 새겨졌습니다.

윤 대통령은 "1864년부터 자유와 평화를 위해 헌신한 미군 용사들이 안장된 미국인들의 성지 알링턴 국립묘지에 서게 돼 감회가 남다르다"며 "이곳에는 한국 전쟁에 참전해 전사한 분들도 다수 안장돼 있어, 대한민국 국민을 대표해 자유와 평화를 위해 헌신한 미군 용사들에게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고 이 대변인은 전했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공수 낙하산부대 작전 장교(대위)로 참전해 1950년 9월 인천상륙작전, 서울수복 작전 등에서 활약한 고(故) 윌리엄 웨버 대령 등 다수의 한국전쟁 참전용사도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돼 있다고 대통령실은 보도자료를 통해 전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