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5 (토)

"당장 귀국해야"…민주, '프랑스서 입장 표명' 송영길에 '부글부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으로 수세에 처한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 현재 프랑스에 머무르는 송영길 전 대표의 처신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당시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송 전 대표 측에서 벌어진 일로 당이 궁지에 몰렸는데도 정작 본인은 외국에서 이를 사실상 방관하고 있다는 비판입니다.

이번 의혹이 최초로 제기된 후로 송 전 대표는 지금까지 "잘 모르는 일"이라며 선을 그어왔습니다.

송 전 대표는 아울러 이재명 대표가 지난 17일 대국민 사과하며 요구한 조기 귀국에 대해서도 "(한국에) 들어가서 무슨 이야기를 하겠느냐"며 거리를 두는 듯한 입장을 취했습니다.

그는 파리경영대학원(ESCP) 방문 연구교수로 체류 중인 프랑스 파리 현지에서 오는 22일(현지시간) 입장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예고한 상태입니다.

이런 태도에 민주당에서는 계파와 선수를 가리지 않고 비판 여론이 들끓고 있습니다.

돈 봉투가 오간 정황을 알았는지, 이번 의혹에 얼마나 관여했는지 등과는 별개로 일단 귀국해 물의를 일으킨 것을 사과하고 진상 규명에 협조하는 모습을 보이는 게 먼저라는 것입니다.

당내 최대 의원 모임인 '더좋은미래'(더미래)는 오늘(19일) 입장문을 내고 "당 대표가 조기 귀국해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했는데도 귀국을 미루며 기자회견을 하겠다고 하는 것은 전직 대표로서, 책임 있는 지도자로서 부적절한 처신"이라고 밝혔습니다.

초선 의원 모임인 '더민초' 역시 송 전 대표의 조기 귀국을 촉구하는 내용으로 성명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송 전 대표를 향한 당내 여론은 생각보다 심각한 수준이라는 게 의원들의 전언입니다.

한 의원은 통화에서 "일단 귀국해 결자해지 하는 모습을 보여야 하는데도 그렇지 않은 모습에 육두문자까지 섞어가며 불만을 표하는 사람도 있다"고 전했습니다.

정부·여당이 '외교 이슈'로 고전하면서 민주당 지지율이 상승세를 보이던 상황에서 악재를 만난 지도부는 더욱 고심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의혹이 총선을 1년도 안 남긴 시점에서 도덕적으로 치명타가 될 수 있고, 이를 빨리 수습하지 못하면 민심이 급속히 악화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 때문입니다.

이런 기류를 반영하듯 오늘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지도부는 일제히 송 전 대표의 조기 귀국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내놨습니다.

고민정 최고위원은 "'돈 봉투 사건'은 독재 정권과 싸워온 우리를 무력하게 만들었고, 민주주의를 수호한다는 정당성도 무력화했다"며 "(송 전 대표가) 떳떳하다면 (귀국을) 피하고 미룰 이유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송갑석 최고위원도 "송 전 대표의 무책임한 태도에 실망을 감출 수 없다"며 "송 전 대표가 있어야 할 곳은 파리가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 옆"이라고 했습니다.

당 일각에서는 지도부가 송 전 대표를 제명하거나 출당시키는 등 강한 조처를 해 쇄신 의지를 보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기됩니다.

김두관 의원은 페이스북에 "이번 사건으로 민주당이 국민과 당원의 정치의식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이 잘 드러났다"며 "눈물을 머금고 우리의 허물을 두 배, 세 배 더 강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개별 의원들의 '실언' 논란까지 불거졌습니다.

정성호 의원은 어제 언론 인터뷰에서 이번 의혹을 두고 "차비, 기름값, 식대 정도 수준"이라고 말한 데 대해 '의혹을 두둔한다'는 비판이 뒤따르자 오늘 입장문을 내고 "불찰을 반성한다"며 고개를 숙였습니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오늘 라디오에 나와 "이런 (돈 봉투) 관행은 사라져야 한다"면서도 "국회의원이 300만 원 때문에 당 대표 후보 지지를 바꿀 가능성은 작고 50만 원은 한 달 밥값도 안 되는 돈"이라고 말해 논란을 예고했습니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