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2 (일)

中, 美 가볍게 제치고 세계 최대 채권국 부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채의 덫에 몰릴 위험성도 농후

아시아투데이

최근 아프리카 나이지리아의 한 수력 발전소 건설현장에서 중국측 감독관이 건축 프로젝트를 지휘·감독하는 장면. 차이나머니가 투입된 현장으로 알려지고 있다./제공=런민르바오(人民日報)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중국이 극강의 G1 국가인 미국을 가볍게 제치고 세계 최대 차관 공여국으로 등극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전 세계 각국으로부터 받아야 할 채권 규모에서는 이미 G1이 됐다고 해도 좋을 듯하다. 앞으로는 더욱 압도적인 위상을 보여줄 것이 확실시되고도 있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들이 외신 보도를 인용해 29일 전한 바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2011년부터 지정학적 위치가 중요하거나 광물 자원이 많은 개발도상국과 후진국들에 공격적으로 차관을 제공해온 바 있다. 또 채권·채무 관계로 얽힐 경우 벌써 10여년 째 추진 중인 '일대일로(육상 및 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 추진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가능하다는 판단도 차이나머니를 적극 뿌린 이유로 작용했다.

이에 따라 중국의 대외 채권은 2104년 100억 달러로 증가한 후 2021년 누적 9000억 달러(1169조원)에 이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올해의 경우는 1조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 규모가 GDP(국내총생산)의 7% 전후를 기록하고 있다는 계산은 가볍게 나온다. 미국이 지난 20여년 동안 외국에 차관을 제공한 케이스가 전무했다는 사실을 감안할 경우 대단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구제금융을 제공하는 것이 주업인 IMF(세계통화기금)를 넘보는 수준이라면 더 이상 설명은 필요 없다.

차관이 공여된 국가들의 면면도 간단치 않다. 우선 튀르키예를 꼽을 수 있다. 유럽과 중동을 잇는 지정학적 위치가 매력적으로 작용, 중국의 거액 차관을 빨아들이고 있다.

남미의 강국 아르헨티나 역시 꼽아야 한다. '21세기의 석유'로 불리는 세계적 희토류 보유국이라는 사실이 중국에게 매력적으로 작용했다고 봐야 한다. 이외에 인도양 진출의 요지인 스리랑카, 라오스, 파키스탄 및 아프리카의 나이지리아, 남미 수리남 등은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국가들로 손색이 없다.

문제는 이 차이나머니가 중국이 놓은 '부채의 덫'으로 작용할 기미가 농후해 보인다는 사실에 있다. 실제 스리랑카 등 일부 국가들은 이 덫에 걸려 허우적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뉴욕타임스를 비롯한 미국 언론이 최근 중국의 빚에 고전하는 국가들이 40여개 전후에 이른다고 주장하는 것은 다 까닭이 있다.

사실 그럴 수밖에 없다. 중국이 위안(元)으로 빌려주는 차관의 금리가 각각 1%와 2.5%인 미국의 단기채권, IMF의 장기채권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다. 많이 빌릴수록 '부채의 덫'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중국이 미국으로부터 악덕 고리대금업자처럼 행세한다는 비난을 받는 것은 결코 괜한 게 아니라고 해야 한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