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가계대출, 고위험 가구 부실 우려···평균 부채 2억5천·DSR 116.3%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서울의 한 은행에 대출 광고가 걸려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금융권 전반에서 가계대출 연체율이 상승한 것과 관련해, 빚을 많이 지고 자산 처분을 통해 갚을 여력도 부족한 고위험가구가 부실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말 가계대출 차주(대출을 받은 사람)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40.6%로 4년만에 40%를 넘어섰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를 보면 은행과 비행권을 모두 합친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6월말 0.56%에서 12월말 0.66%로 0.1%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2009~2021년 장기평균 연체율 1.26%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한은은 가계 전반의 부실위험은 낮지만, 고위험가구는 유의해서 볼 필요가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해 가파른 금리 상승으로 이자부담이 늘고, 자산 가격을 하락하면서 대출 연체 가능성이 더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고위험가구는 올 2월 현재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5.0%, 금융부채 규모의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고위험가구의 평균 금융부채 규모는 2억5000만원으로, 비고위험가구(1억원)의 2.5배에 달했다.

한은 분석결과 빚 상환부담은 고위험가구와 비 고위험가구 사이에 차이가 컸다. DSR 40%, 자산대비부채비율(DTA) 100%를 모두 상회하는 가구를 고위험가구로 정의했을 때, 올 2월 기준 고위험가구의 평균 DSR은 116.3%로 비 고위험가구 33.2%를 큰폭 웃돌았다. DTA역시 고위험가구가 158.5%인 반면, 비 고위험가구는 39.9%에 그쳤다. 고위험가구는 소득을 넘어서는 빚을 내고, 가진 자산을 다 팔아도 빚을 갚을 수 없다는 뜻이다. 금융업권별로는 고위험가구 대출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 및 여전사의 연체율이 다소 빠르게 상승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4분기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평균 DSR은 40.6%로 집계됐다. 대출을 받은 사람이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의 비율이 40%를 넘었다는 의미다. 가계대출 차주 평균 DSR이 40%를 넘은 것은 2018년 4분기(40.4%) 이후 4년 만이다. 다만 DSR 규제가 강화되면서 지난해 4분기 새롭게 대출을 받은 신규차입 차주의 DSR은 17.3%로 규제 강화 전인 2020년 4분기(23.8%) 보다 하락했다.

차주의 DSR 분포를 보면 전체 가계대출 차주의 68.1%는 DSR 40% 이하에 분포했다. 그러나 DSR이 70%를 초과하는 고DSR 차주가 7명 중 1명꼴인 전체의 15.3%였다. 100%를 초과해 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많은 차주도 11명 중 1명인 8.9%로 집계됐다. 특히 다중채무자(3개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후)인 취약차주는 4분기 기준 전체의 6.3%로, 이들의 평균 DSR은 66.6%에 달했다. 한은은 “2021년 하반기 이후 가계대출 차주의 DSR이 상승하고 있으나, 당장 가계 전반의 채무상환부담 급증을 우려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평가된다”면서 “DSR이 높은 차주의 대출잔액이 많고 취약차주의 부담이 큰 점을 고려해, DSR 규제 안착을 통해 점진적인 가계부채 축소를 꾸준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윤주 기자 runyj@kyunghyang.com

▶ 채용부터 성차별, 27년째 OECD 꼴찌 이유 있었다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