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일장기 경례’ 사진 올린 페북 게시물에 ‘가짜 뉴스’ 표식
탁 전 비서관 “尹 일장기에 경례한 사실 없던 일 되지 않아”
윤석열 대통령(앞쪽)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6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의장대 사열 중 양국 국기를 향해 고개 숙여 예를 표하고 있다. 도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쓴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 관련 글에 페이스북이 ‘일부 거짓 정보’라는 표식을 붙이자 탁 전 비서관은 “기시다 총리는 태극기에, 윤 대통령은 일장기에 함께 경례하면 그것은 일장기에 경례한 것이 아닌 것이 되냐”고 비판했다.
탁 전 비서관은 21일 페이스북을 통해 “페이스북의 ‘지적’은 내가 사용한 사진이 일장기에‘만’ 경례한 것으로 오도될 수 있다는 우려로 삭제 등을 권유한 것”이라며 이같이 적었다.
그는 “(앞선 페이스북 글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일장기에 경례했다고 본 대로 이야기했을 뿐”이라며 “그런데 일부 언론에서 나의 글을 인용하며 내가 윤석열 대통령‘만’ 일장기에 경례했다고 주장한 것처럼 바꾸어 놓았다”고 했다.
이어 지난 16일 윤 대통령이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의 확대 정상회담 전 의장대를 사열했던 상황을 다시 짚었다.
탁 전 비서관은 “‘한국 측 도열 전 애국가 연주가 시작되고, 윤 대통령은 애국가 연주 시 손을 올리지 않는다. 사열이 시작되자 윤 대통령 단독으로 태극기에 경례한다. 기시다 총리는 가만히 서 있는다. 기시다 총리와 윤 대통령이 함께 태극기와 일장기에 1회 경례한다’ 이게 실제 벌어진 ‘사실’”이라며 “나는 이 장면을 보고 ‘윤석열 대통령이 일장기에 경례를 했고, 통상 양국 정상은 각각 자국기에 경례를 한다’ 이 두 가지 주장을 했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실의 해명은 기사다 총리와 윤 대통령이 함께 서로의 국기에 경례하기로 합의했고 합의대로 했다는 것”이라며 “그러나 함께 경례하기 전 윤 대통령은 단독으로 태극기에 경례했고 기시다 총리는 그 모습을 지켜보고 있었다. 이것으로 보아 합의가 아니거나, 합의 후 대통령의 돌발행동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AFP 팩트체크란에 올라온 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 게시물 검증 내용 갈무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는 이와 관련한 페이스북의 경고를 언급하며 “페이스북은 함께 1회 경례하는 것이 일본의 관례이고 많은 나라들이 그 관례를 따라왔다고 지적했다”며 “그러나 일본을 방문한 모든 정상들이 서로의 국기에 1회 경례하는 관례를 따른 것은 아니었다. 찾아본 바로는 트럼프 대통령, 바이든 대통령, 인도네시아 대통령 등은 형식을 달리했고, 문재인 정부 때는 의장대 사열시 태극기가 있을 때는 반드시 태극기에 경례를 해왔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외교 의전은 상대국의 의례를 존중하되 우리의 품위를 지키는 방향으로 협의하는 것인데, 이번 의장대 사열에서 우리가 지킨 품위는 무엇인가? 우왕좌왕? 애국가? 태극기와 일장기에 경례?”라고 물으며 “내가 일장기에‘만’ 경례했다고 호도하고 싶겠지만 미안하지만 사실이 아니다”라고 했다.
계속해서 “이제 더 많은 사람들이 가짜를 찾아서, 상징과 의미를 찾아서 그 장면을 다시 돌려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16일 탁 전 비서관은 페이스북에 “의장대 사열시 양 정상은 각각 자국기에 경례를 하고 지나는 것인데 태극기에 경례하고 다시 고개 숙여 일장기에 경례를 하는…어처구니 없음”이라고 적었다.
이 글에는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가 자위대 사열시 각각 고개를 숙인 모습이 찍힌 사진이 첨부됐는데, 여기에는 태극기는 없고 일장기만 보인다.
해당 글에는 이후 ‘일부 거짓 정보. 독립적인 팩트 체크 기관에서 확인되었습니다’라는 문구가 추가로 적혔는데, 페이스북은 프랑스 통신사 AFP의 사실 확인(팩트 체크)에 따라 표식을 삽입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글은 삭제된 상태다.
김수연 기자 sooy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