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한국 응급실 문턱 너무 낮아…경증환자 과밀 해결이 관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성중 중앙응급의료센터장 "'큰 병원 가야한다' 국민 인식 개선 필요"

이태원 참사 등서 응급의료체계 한계 노출…"과밀·지역불균형 해소 목표"

연합뉴스

응급의료센터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김성중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은 21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제4차 응급의료기본계획과 관련, 경증환자의 대형 병원 응급실 쏠림을 해결하는 것이 최대 과제라고 꼽았다.

응급의료기관을 환자 중증도에 따라 차등 구분하고 지역 응급의료 역량을 높이는 정책이 제대로 실행되려면 국민 인식 개선이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김 센터장은 서울 중구에 있는 국립중앙의료원 내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한 인터뷰에서 "그간 응급의료체계 고도화를 위해 여러 정책 사업을 전개해 왔으나 이번 4차 계획을 통해 왜곡된 응급의료체계를 바로 잡을 큰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센터장은 "'큰 병원에서 진료를 봐야 한다'는 국민 인식이 큰 데다 실손의료보험이 있어 응급 의료비용 부담이 너무 적다 보니 응급실 문턱이 낮다"며 "가장 큰 문제는 경증 환자의 대형 병원 응급실 과밀화"라고 지적했다.

김 센터장은 "요양병원·시설에 머물던 만성기 환자가 급성 폐렴 등 급성·응급 질환 치료를 위해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에 입실한 뒤 급성 질환을 치료하면 지역 병원으로 가는 게 맞다"며 "그러나 급성 질환 치료 후에도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에 계속 있다보니 중환자실이 포화, 응급실에서 올라가야 할 중증 환자들이 못 올라가는 적체도 심각하다"고 말했다.

실제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에서 환자 중증도에 따라 환자를 수용하고자 해도 실제 환자와 보호자들이 차등 구분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김 센터장은 "결국 큰 병원 응급실 과밀화 해결은 국민 정서 문제라서 많은 교육과 인식 개선·계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21일 응급의료체계 설명하는 김성중 중앙응급의료센터장
[촬영=김영신]


정부는 5년 안에 국민이 응급실 방문 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을 제공할 계획이다.

예컨대 야간에 배탈이나 고열로 응급실을 가고자 할 때 앱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대형 병원 응급실로 직행할지, 집 근처 의료기관 응급실로 갈지, 또는 외래 진료를 볼지 자가진단을 하도록 돕는 것이다.

김 센터장은 "카카오톡 기반으로 해당 앱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나 법적 문제 등이 있어 쉽지는 않은 상태"라며 "개년 내 개발해서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러한 앱이 만들어지더라도 자가진단으로 인해 만에 하나 중증 환자가 골든타임을 놓치는 가능성도 있는 만큼, 1차적으로는 캠페인 등을 통한 국민 인식 개선이 우선이라는 판단이다.

김 센터장은 지역응급의료에 대해서는 "해당 지역에서 책임지고 진료를 한다는 지역 완결형 응급의료체계 구축이 목표지만 수도권에 의료 자원이 쏠려 있고 지역별로 차이가 나는 현실에서 (지역 완결형 체계가) 쉽지는 않다"며 "의사들이 지역으로 가지 않을뿐더러, 앞으로 수도권에 대형 의료기관이 더 생기면 지역 공동화 현상은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역의 모든 병원이 똑같은 진료를 하는 수준을 만들기는 어렵다"며 "한 지역에서의 한계는 타 지역과 연계해서 해결할 수 있게 해야한다"고 제언했다.

김 센터장은 아울러 응급의료체계 개선에 있어 이른바 '빅5' 상급종합병원들의 협력을 당부했다. 그는 "서울대 등 빅5 병원들이 국내 전체 응급의료체계의 높은 위치에서 최상위 진료를 제공해달라"고 했다.

2001년에 설립된 중앙응급의료센터는 국내 응급의료 체계의 컨트롤타워격 중추 기관으로서, 복지부가 국립중앙의료원에 위탁해서 운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21일 중앙응급의료센터 중앙응급의료상황실 현황 설명하는 차명일 상황실장
[촬영=김영신]


중앙응급의료센터는 24시간 재난 및 응급의료 상황을 감시·대응하고 중증 응급환자의 병원간 전원을 지원하는 중앙응급의료상황실을 포함해 2개실·11개팀으로 구성돼 있다.

중증 의료환자 이송 대응 강화를 위한 닥터헬기, 응급의료 통계 연구, 권역외상센터 설치 지원, 이동형 병원 등이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수행하는 대표적 사업들이다.

다수 사상자나 재난상황 발생 시 중앙 재난의료지원팀(DMAT)과 재난응급의료 무선통신망을 운영하는 것도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역할이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발생한 이태원 참사 당시 중앙응급의료센터 중앙응급의료상황실이 현장 구조대와 일선 병원과 괴리된 문제점을 노출하기도 했다.

코로나19 대유행 때도 위중증 환자가 가용 응급 병상으로 이동됐으나, 정작 현장에서는 병상이 없어 거부하는 일들이 발생한 바 있다.

고은실 부센터장은 "종합상황판의 정보 정확성과 일선 현장의 사용 편리성 문제가 지적돼 왔다"며 "이런 괴리 문제를 줄이기 위해 시스템을 계속 개선 중이며,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적극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태원 참사 이후 중앙응급의료상황실 시스템은 구급대 등 일선 현장에서 이전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신호등 표시를 제공하는 '내손안의응급실'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응급실 가용 정도를 신호등처럼 색으로 표시하고, 대기 환자가 있는 병상까지도 반영해서 노출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높인다는 것이다. 고 부센터장은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하면서 내손안의 응급실을 더욱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shin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