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취업자 31만명 증가 그쳐…청년은 2년만에 최대폭 감소(종합2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취업자 증가 폭 9개월 연속 둔화…제조업선 두 달째 줄어

60세 이상 빼면 10만명 감소…"고용시장, 경기 영향권 진입"

연합뉴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김다혜 박원희 기자 = 지난 2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1만2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60세 이상을 제외한 취업자 수는 10만명 넘게 줄었다. 특히 청년 취업자 수는 2년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가 2개월 연속 감소하는 등 경기 둔화의 영향이 고용시장에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 2월 취업자 증가폭 2년 만에 최소…청년 취업자는 2년 만에 최대폭 감소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71만4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1만2천명 늘었다.

이는 2021년 2월(-47만3천명) 이후 2년 만에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작년 2월 취업자 증가 폭이 103만7천명으로 컸던 데 따른 기저효과와 고령화 등 인구 구조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취업자 수는 2021년 3월부터 24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으나 증가 폭은 작년 6월(84만1천명)부터 지난달까지 9개월 연속 둔화했다.

지난달 취업자를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41만3천명 늘었으나 60세 이상을 제외한 연령대에서는 10만1천명 감소했다.

50대(7만7천명), 30대(2만4천명)가 늘었으나, 20대 이하 청년층(-12만5천명)과 40대(-7만7천명)는 감소했다.

청년층 취업자 감소 폭은 2021년 2월(-14만2천명) 이후 최대다. 청년층 취업자는 4개월째, 40대 취업자는 8개월째 줄었다.

청년층 고용률도 45.5%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p) 하락했다. 2021년 2월 이후 2년 만에 하락 전환이다.

인구 감소와 함께 지난해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컸던 기저효과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연합뉴스

[그래픽] 취업자 증가 추이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71만4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1만2천명 늘었다. circlem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 제조업 취업자 -2만7천명…두 달째 감소

업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가 2만7천명 감소했다. 전월(-3만5천명)에 이어 두 달째 감소세다.

반도체 중심의 수출 감소가 제조업 취업자 감소에도 영향을 미치는 양상이다.

금융·보험업에서도 6천명 감소했다. 지난 1월 금융·보험업 취업자 수는 1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다시 감소한 것이다.

도소매업(-7만6천명), 운수·창고업(-4만4천명), 농림어업(-4만4천명) 등에서도 감소했다.

반면 보건·복지업(19만2천명), 숙박·음식점업(17만6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다. 숙박·음식점업은 10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취업 시간별로는 주 36시간 이상 취업자 수가 2천101만5천명, 36시간 미만 취업자가 615만2천명으로 각각 23만6천명, 13만1천명 증가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가운데 상용근로자가 47만명 증가하고 임시근로자(-12만8천명)와 일용근로자(-8천명)는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가운데에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5만5천명 늘었지만,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5천명 줄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7만2천명 감소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 통계청 "경기 영향권 진입"…정부 "둔화 폭 줄어들 가능성도"

15세 이상 고용률은 61.1%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올랐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 이래 2월 기준 최고치다.

실업자 수는 89만명으로 6만4천명 줄었고 실업률은 3.1%로 0.3%포인트 감소했다. 1999년 6월 통계 개편 이후 2월 기준 최저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 실업률이 7.0%로 0.1%포인트 상승했다. 30대도 2.7%로 0.1%포인트 높아졌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75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6천명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쉬었음(16만5천명), 심신장애(4만2천명) 등에서는 증가했지만, 육아(-18만7천명)와 연로(-9만3천명) 등에서는 줄었다.

취업준비자는 68만5천명으로 12만명 감소했다.

구직단념자는 35만8천명으로 15만5천명 줄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2월 고용은 취업자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증가 폭이 9개월째 둔화했다"며 "고용률 전체로 봤을 때 나쁜 상황은 아니지만, 경기 영향이 조금씩 영향권 안으로 들어오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기재부 김시동 인력정책과장은 "지난해 고용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와 경기 둔화, 생산연령인구 감소 등 취업자 증가 폭 둔화 요인이 있다"면서 "다만 대면서비스 정상화와 외국인 근로자 유입 등 당초 전망보다 둔화 폭이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speed@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