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하급 군관 나신걸이 한글로 아내에게 쓴 편지 보물 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화재청, 창녕 관룡사 불상·서울 청룡사 괘불도 등 3건 보물 지정

뉴스1

'나신걸 한글편지'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한글이 조선 백성들의 실생활 속에서 널리 쓰였음을 알 수 있는 가장 오래된 한글편지가 보물이 됐다.

문화재청은 9일 조선 초기 군관 나신걸(羅臣傑·1461~1524)이 아내 신창 맹씨(新昌孟氏)에게 한글로 써서 보낸 편지인 '나신걸 한글편지'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편지는 2011년 대전시 유성구 금고동에 있던 맹씨 묘에서 출토됐다. 두 장으로 구성된 편지는 맹씨의 머리맡에서 여러 번 접힌 상태로 발견됐다. 묘에서는 의복 28점을 비롯한 총 41점의 유물이 나왔다.

편지는 아래, 위, 좌우에 걸쳐 내용이 빼곡하다. 어머니와 자녀들에 대한 그리움부터 철릭(조선 시대 무관의 의복) 등 필요한 의복을 보내주고, 농사일을 잘 챙기며 소소한 가정사를 살펴봐 달라는 게 주된 내용이다.

편지는 나신걸이 함경도에서 하급 군관 생활을 한 1490년대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중에는 1470~1498년 동안 쓰인 함경도의 옛 지명 '영안도'(永安道)라는 글자도 등장한다.

문화재청은 이 편지로 1446년 훈민정음이 반포된 지 50년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한양으로부터 먼 변방지역까지 한글이 널리 보급된 실상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글이 여성 중심의 글이었다고 인식됐던 것과 달리 조선 초기부터 남성들 또한 익숙하게 사용했다는 사실도 보여준다.

문화재청은 "현재까지 발견된 한글편지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자 상대방에 대한 호칭, 높임말 사용 등 15세기 언어생활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라며 "훈민정음 반포의 실상도 알 수 있어 학술적·역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뉴스1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배치 모습.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화재청은 또한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도 보물로 지정했다.

17세기 활약한 조각승 응혜의 대표작인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관룡사 명부전(법당)에 봉안한 17구의 불상을 가리킨다.

앞을 바라보는 자세에 뾰족한 수염과 낮은 코, 한쪽 팔을 뒤로 빼서 기댄 채 수염을 만지는 여유로운 모습의 시왕(지옥에서 망자의 죄를 심판하는 10인의 왕)상, 과장된 투구를 쓴 금강역사(사찰이나 불상을 지키는 수호신)상은 응혜의 조각에서 엿볼 수 있는 특징 중 하나다. 발원문 등 관련 기록을 잘 구비하고 있고 작품의 완성도도 뛰어나다.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는 1806년 순조(재위 1800~1834)와 순원왕후의 장수를 기원하며 상궁 최씨가 발원한 대형 불화다. 당대 대표적 화승이었던 민관 등 5명이 제작했다.

18~19세기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크게 유행한 새로운 괘불 양식이 반영된 최초의 작품으로 평가된다.

뉴스1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cho8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