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뮤지컬과 오페라

한국 뮤지컬은 ‘오페라의 유령’ 전과 후로 나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 공연시장 산업화로 이끈 주역

13년 만에 한국어 공연으로 상륙

연출가 라이너 프리드·안무가 데니 베리

“한국 배우들과의 작업, 가장 큰 매력”

헤럴드경제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오페라의 유령’을 시작으로 이뤄진 한국 공연 시장의 성장은 전 세계 어디에서도 보지 못한 현상이었어요. 우리 작품이 한국 뮤지컬 시장의 성장에 기여했다는 데에 자랑스러운 마음을 갖고 있습니다.” (라이너 프리드 연출)

1986년 런던, 1988년 뉴욕에서 초연한 ‘오페라의 유령’은 세계 뮤지컬 ‘빅4’ 중 하나라는 상징성 이외에도 한국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한국에서만 총 다섯 번 막을 올렸다. 오리지널 투어 공연이 세 번, 한국어 공연이 두 번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한국 뮤지컬은 ‘오페라의 유령’ 전과 후로 나뉜다”고 말한다. 이 작품은 2001년 12월, LG아트센터에 상륙했다. ‘한국어 공연’으로 막을 올린 이후 장장 7개월간 24만 관객과 만나며 190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한국 뮤지컬 산업화의 시초가 된 작품이다.

개막을 앞두고 한국을 찾은 라이너 프리드 협력 연출은 “전 세계 그 어느 나라에서도 ‘오페라의 유령’이 이렇게 많이 무대에 선 적은 없었다”고 말했다. 공연은 오는 30일 부산 드림시어터(6월 18일까지)에서 개막한 뒤 서울(7월 14~11월 17일·샤롯데씨어터)까지 7개월의 대장정을 이어간다.

헤럴드경제

오페라의 유령 안무가 데니 베리(오른쪽 사진 왼쪽), 연출가 라이너 프리드. [에스앤코 제공]


‘오페라의 유령’은 세계적인 뮤지컬 거장인 작곡가 앤드루 로이드 웨버의 대표작이다. 미국 브로드웨이와 영국 웨스트엔드에서 동시에 최장수 공연 기록을 가졌다. 배우들에겐 ‘꿈의 무대’이고, 관객에겐 ‘불후의 명작’이다.

데니 베리 협력 안무가는 “‘오페라의 유령’이 이토록 오랫동안 사랑받은 것은 국적과 관계없이 공감을 일으키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라며 “이 작품엔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 있다”고 말했다.

13년 만에 돌아온 한국어 공연은 볼거리가 많다. 일단 캐스팅이 화려하다. 배우 조승우를 비롯해 성악가 김주택, 뮤지컬 배우 전동석 최재림(서울 공연)이 ‘유령’ 역할에 이름을 올렸다. 조승우는 무려 7년 만의 신작이다.

프리드 연출과 데니 베리 안무가는 “‘오페라의 유령’ 캐스팅은 굉장히 어려운 작업”이자 “긴장의 연속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캐스팅 과정에서 중점적으로 본 것은 “배우들 각각이 가진 성격”이었다.

“유령들은 모두 각자 개성이 다른 사람들이에요. 저마다 매력이 다르죠. 조승우는 오랜 연기 경력을 갖고 있고, 전동석은 뮤지컬 무대 배경이 탄탄하게 잡혀 있다면, 김주택은 성악 기반의 배우예요. 이 작품은 뮤지컬 배우가 갖춰야 하는 기술, 스토리텔링 능력과 더불어 다양한 면모가 요구돼요. 특히 유령 역할엔 카리스마가 필요하죠.” (라이너 프리드)

데니 베리 안무가는 “한국 배우들과 작업할 수 있다는 건 이번 공연을 하는 가장 큰 매력 중 하나다. 한국 배우들은 특유의 열정과 이 작품에 어울리는 깊은 감정을 가지고 있다”며 “번역과 문화의 차이로 대사 한 줄이 그렇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고 했다.

작품의 또 다른 묘미는 ‘원작의 복원’이다. 제작사 에스앤코 신동원 대표는 “1986년 초연 당시의 오리지널 무대를 그대로 복원해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공연만을 위해 영국에서 다시 세트를 만들었고, 의상과 가발, 소품도 한국 영국 호주에서 제작했다. 그는 “공연장에 오면 오페라하우스와 미술관을 그대로 옮긴 듯한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덕분에 제작비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초특급 캐스팅에 무대 연출, 의상 등 무려 400억원에 달하는 제작비가 들었다. 역대급 대작의 귀환인 셈이다.

그만큼 기대도 높다. 부산 공연에선 이미 ‘흥행’이 예고됐다. 조승우가 출연하는 회차는 삽시간에 팔려나갔다. 기획사 클립서비스에 따르면 예매 관객 중 40~50%는 부산 이외의 지역에서 찾고 있다. 신 대표는 “이번 ‘오페라의 유령’ 부산 공연을 위해 국내외 제작진, 스태프, 배우가 200명이 이동한다. 한 마을이 움직일 정도의 큰 규모로, 상당한 경제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부산시장이 서울 못잖은 뮤지컬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오페라의 유령’과 함께 성장한 한국 뮤지컬 업계를 마주하는 제작진의 마음도 각별하다. 프리드 연출은 “2019년 투어공연 내한 당시 ‘’오페라의 유령‘과 한국 관객은 사랑하는 사이처럼 느껴진다’고 말했는데, 이제는 결혼한 사이가 된 것 같다”며 “다른 뮤지컬을 즐기다가도 언제나 다시 ‘오페라의 유령’으로 돌아오는 한국 관객에게 감사함을 느낀다”고 했다.

고승희 기자

she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