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자산운용사의 절반 가까이가 지난해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2월 결산 자산운용사 344개사 가운데 48.5%에 해당하는 167곳이 지난해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적자 자산운용사의 비중은 지난 2020년에는 259개사 중 20.8%안 54곳, 2021년에는 281개사 중 11.4%인 32곳에 그쳤으나 작년에는 그 비중이 절반으로 커진 것입니다.
공격적인 해외주식 투자 성향의 머스트자산운용은 지난해 당기순손실이 약 285억 원에 달했고, BNK자산운용도 약 136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냈습니다.
반면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은 약 1조 6천560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냈고, 이어 미래에셋자산운용 4천546억 원, 이지스자산운용 1천295억 원, 삼성자산운용 756억 원 등이 비교적 많은 당기순이익을 냈습니다.
지난해 자산운용사 실적 부진은 기본적으로 증시 부진 탓이 컸습니다.
자산운용사의 주요 수익원은 크게 보수와 운용사의 고유재산을 투자해 얻는 수익으로 구분됩니다.
보수에는 펀드나 일임 자금을 운용하는 대가로 받는 운용 및 일임보수, 특정 기준 이상의 수익을 냈을 때 받는 성과보수 등이 포함됩니다.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보수는 펀드 순자산에 연동돼 있기 때문에 순자산이 늘어야 보수도 늘어나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지난해 금리 인상기 투자자금이 증시를 이탈해 은행으로 쏠리면서 설정액이 줄었고, 펀드 내 자산가치도 하락해 평가이익이 급감하며 순자산도 위축됐습니다.
적자 자산운용사 상당수가 전문 사모 운용사인 점도 눈에 띕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사모 운용사들이 지난 2020년 증시 호황에 힘입어 한 2년 정도 많은 수익을 내 곳간이 채워지자 다소 공격적으로 고유재산 투자를 진행했다가 지난해 갑작스러운 금리 인상 기조에 큰 손실을 본 곳이 많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여기에 라임·옵티머스·디스커버리 등 일련의 사모펀드 사태로 불거진 투자자들의 불신도 사모 운용사를 위축시켰다는 분석입니다.
(사진=연합뉴스)
송욱 기자(songxu@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