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임상물질생산 사진. (사진제공=셀트리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 지원 코로나 백신·치료제 사업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진다. 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 및 비임상 지원사업 적절성 점검 및 성과관리·활용 계획 수립 연구'를 시작했다.
이번 연구 골자는 2020년부터 진행된 코로나 백신·치료제 사업 과정 적절성을 분석하고, 연구성과물을 평가하는 한편, 향후 성과관리 방안 및 활용·확산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특히 사업 추진 기간에 나왔던 주요 외부 지적사항을 중심으로 점검항목을 구성하고 별도 점검위원단을 운영한다.
과제 선정 단계 공정성 문제부터 △집행률 △부당이익 △과제 중단 등 진행 과정에서 나타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이루어졌는지 살피고, 감염병 연구개발(R&D) 지원 개선 방안까지 제시한다. 진흥원은 2분기 안에 점검 결과를 내놓을 계획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에 약 1550억원, 백신 임상에 약 2575억원, 백신치료제 비임상에 약 144억원을 투입했다.
해당 사업을 통해 총 14개 기업이 치료제·백신 개발을 지원받았다. 이 중 SK바이오사이언스가 국산 첫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을 시장에 내놨고 셀트리온은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를 상용화했다.
다만 급히 추진하는 과정에서 일부 기업은 임상 성과를 내놓지 못하거나 아예 중도 포기를 선언하며 논란을 빚었다. 실패 가능성이 높은 신약개발 산업 특수성을 고려하더라도, 몇몇 기업은 애초에 역량이 모자라는데 정부 주도사업 참여에 따른 주가 상승 등 부수 효과를 노리고 무리하게 뛰어들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최근에는 특정 기업을 상대로 “코로나 치료제 임상 계획을 승인받기 위해 식품의약품 안전처에 청탁을 했다”는 민원이 제기돼, 검찰이 식약처 압수수색에 나서는 일도 벌어졌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기준 정부 지원을 받은 기업 중 4개 업체가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을 포기했다.
정부는 이번 점검에서 성과와 부작용을 면밀히 파악해 향후 국가 지원 감염병 연구·지원사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보건산업진흥원 관계자는 “사업에 참여한 개별 기업에 대한 평가보다는 국가 지원사업이 어떻게 진행됐는지 점검하고 보완할 점을 찾는 취지”라면서 “운영·관리 적절성을 점검하고 성과분석과 더불어 향후 (결과물) 관리·활용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