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핵오염수 방류 반대를 위한 농어민 단체의 결의대회에서 참가자들이 '핵오염수 방류로 제주바다가 죽는다'는 내용의 현수막이 붙은 상여 모형 상자를 들고 제주시 노형동 일본국총영사관 앞으로 거리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의 해양 방류가 임박했다. 국민 10명 중 7명은 오염수 방출에 부정적인 의견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쿠시마 제1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해양 방류에 필요한 시설 공사를 올봄까지 끝낼 예정이다. 도쿄전력의 오노 아키라 후쿠시마 제1폐로 추진컴퍼니 최고책임자는 지난 3일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봄 무렵 공사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2011년 3월11일 일본 동북부 지방을 관통한 쓰나미로 후쿠시마 제1원전의 전원이 중단되면서 원자로를 식혀주는 긴급 노심냉각장치가 작동을 멈추면서 수소폭발이 일어났다.
사고 수습을 위해 고장난 냉각장치를 대신해 뿌렸던 바닷물은 방사성 물질을 머금은 오염수로 누출됐고, 오염수 처리 문제가 대두됐다. 일본 정부는 하루에 140t씩 쌓인 오염수 저장 탱크가 부족해지자 2021년 4월13일, 오염수를 방류하겠다는 결정을 공식 발표했다.
일본 정부는 130만t의 오염수가 담긴 오염수 탱크 1066개를 보관 중인데, 올 상반기부터 바다로 흘려보내겠다는 방침이다. 총 64개 방사성 핵종 중 삼중수소와 탄소-14를 제외한 62개를 다핵종제거설비(ALPS) 처리를 통해 기준 내 수준으로 낮춰 1㎞ 해저터널로 내보내겠다는 계획이다.
이르면 오는 4월이라는 구체적인 시기도 관측되고 있다. 일본은 오는 4월 삿포로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환경장관회의에서 오염수 방류의 투명한 처리 방식을 환영한다는 공동성명을 추진하고 있다.
5일 헤럴드경제는 우리 식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과 관련한 국민 인식을 알아보았다. 총회원수 약 20만명을 보유한 정치 데이터 플랫폼 ‘옥소폴리틱스’를 통해 빅데이터 분석한 결과, 오염수 방출에 대해 71.4%가 ‘반대’, 14.9%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7%는 중립을 택했다.(정치 성향별 가중치 부여값)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반대’가 높은 가운데 40대는 95.5%가, 50대는 88.2%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대는 71%, 20대는 61.1%, 30대는 77.3%가 반대했다.
최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지난달 16일 후쿠시마 오염수 속 삼중수속 확산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트리튬)가 섞인 오염수가 제주 해역에 유입되는 시기는 방출 후 4~5년 후인 것으로 분석됐다. 해류의 영향으로 바닷물이 일본의 동쪽으로 흘러, 일본의 서쪽에 위치한 한반도에 도달하는 시차가 생기는 것이다.
연구진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후 10년 후 제주 해역에 유입되는 삼중수소 농도는 물 1㎥당 약 0.001Bq(베크렐) 안팎으로 내다보면서 “분석기기로 검출하기 힘든 농도”라고 밝혔다. 이번 시뮬레이션은 일본이 매년 22조Bq(베크렐)에 이르는 삼중수소를 10년간 방류한다는 것을 가정으로 이뤄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21.9%만이 신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53.9%는 부정적인 의견이었으며, 24.2%는 중립을 택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응에 대해서는 65.7%가 부정적으로 봤다. 정부의 대응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제소하거나 외교적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왔지만 진전은 없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재까지 정부의 공식 입장은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적인 원칙으로 하여, 오염수가 과학적·객관적으로 안전하며, 국제법·국제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처분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검증해 나갈 것”이다.
국무조정실은 2018년 10월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출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한 이후부터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총괄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silverpaper@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