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세계은행 "대지진 따른 시리아 직접 피해액 6조6천억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건물·인프라·문화유산 파괴로 GDP 약 10% 손실

북부 알레포·이들리브 등 반군장악 지역에 피해 집중

연합뉴스

대지진으로 폐허가 된 시리아 도시 속 가족
(서울=연합뉴스) 대지진으로 폐허가 된 시리아의 한 도시에서 가족으로 보이는 어른과 아이들이 불을 피워 추위를 피하고 있다. [월드비전 제공]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지난달 6일 발생한 강진에 따른 시리아의 직접 피해 규모가 약 51억 달러(6조6천억 원)라는 세계은행(WB) 추산이 나왔다.

유엔에 따르면 튀르키예 남서부와 시리아 북동부를 강타한 이번 지진으로 튀르키예에서 4만5천명 이상, 시리아에서 5천900명 이상이 숨졌다. 실종자도 수만명에 달하며, 수십만명이 집을 잃었다.

WB는 3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건물, 인프라, 문화유산 파괴 등에 따른 시리아의 직접 피해 규모가 국내총생산(GDP)의 10% 수준이라고 밝히며 피해액을 이처럼 추산했다.

여기에는 지진이 시리아 경제에 끼치는 폭넓은 경제적 영향이나 손실은 포함하지 않았다고 WB는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북부 알레포 주의 피해 규모가 가장 컸다. 알레포의 피해액은 전체의 45%에 이르는 약 23억 달러로 추정됐다.

이어 이들리브 주(37%, 19억 달러), 라타키아 주(11%, 5억4천900만 달러) 순이었다.

다만 WB는 직접 피해 규모 추산에 불확실성이 있다며 하단선으로 27억 달러, 상단선으로 79억 달러를 제시했다.

AP는 이번 지진이 가뜩이나 어려운 시리아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고 지적했다. 지진이 덮치기 전에도 시리아는 12년 가까이 내전을 겪으면서 거의 50만명이 숨졌으며, 내전 이전 인구 2천300만명 중 절반이 난민으로 내몰렸다.

WB는 지난달 27일 별도 보고서에서 튀르키예의 직접 피해액은 342억 달러(44조3천억 원)으로 추산한 바 있다.

limhwasop@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