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0 (금)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3주만에 연간 공급목표 3분의 1 초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7일까지 14조5천억원 규모 신청돼…58% '기존대출 상환'

은행권 주담대와 격차 줄었지만 추가 금리 인하는 쉽지 않아

연합뉴스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접수 시작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고금리 상황에서 주택 구입이나 '대출 갈아타기'가 필요한 실수요자를 위한 정책 상품인 특례보금자리론이 출시된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시내 SC제일은행 한 지점 외벽에 현수막이 걸려 있다. 2023.1.30 jieunlee@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규모가 출시 약 3주 만에 1년간 공급 목표의 3분의 1을 넘어섰다.

10명 중 6명 가량은 은행권 등에서 빌린 기존 대출을 상환하기 위한 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민의힘 최승재 의원이 주택금융공사(HF)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7일까지 특례보금자리론 누적 신청금액은 14조5천11억원(6만3천491건)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30일 출시 이후 19일(15영업일)만에 1년간 공급 목표인 39조6천억원의 36.6%가 이미 신청된 것이다.

특례보금자리론은 기존 보금자리론에 안심전환대출, 적격대출 등 정책 모기지를 통합한 상품으로, 우선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는 연 4.25∼4.55%(일반형)와 연 4.15∼4.45%(우대형)로 책정됐다. 우대형의 경우 각종 우대금리 최대한도(0.9%포인트)를 받으면 연 3.25∼3.55%까지 가능하다.

특례보금자리론은 출시 직후 높은 관심으로 3일간 7조원 규모 신청이 이뤄졌지만 이후 대기수요가 해소되면서 3주차 신청 규모는 1조5천억원 수준으로 감소했다.

특례보금자리론 전체 신청건수 6만3천491건을 용도별로 살펴보면 기존대출 상환이 전체의 57.9%인 3만6천786건이었다.

상대적으로 비싼 이자를 부담해야 하는 은행 주택담보대출로부터 특례보금자리론으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많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신규주택 구입이 34.2%(2만1천682건), 임차보증금 상환 7.9%(5천23건)이었다.

연합뉴스

2월 17일 기준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현황
[출처 : 최승재 의원실]


우대금리 신청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의 85.7%인 5만4천434건이 0.1%포인트(p) 금리 우대가 가능한 인터넷을 통한 전자약정 방식(아낌e)이었다.

그러나 다른 우대금리 신청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대금리 조건 중 저소득청년 8.2%(5천1건), 신혼가구 3.5%(2천124건), 사회적배려층 2.6%(1천630건) 등으로 나타났다.

최승재 의원은 "특례보금자리론 인기가 출시 당시에 비해서는 한풀 꺾였지만 여전히 안심전환대출 상품 등과 비교하면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면서 "우대금리 신청은 저조하기 때문에 우대형뿐만 아니라 일반형 상품 신청자로 우대금리 적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 17일 기준 특례보금자리론 신청건 중 대출이 승인돼 종결된 건수가 전체의 27.8%인 1만7천642건이었고, 불승인 건수는 0.6%인 401건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특례보금자리론 흥행 호조세가 계속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최근 인터넷은행을 중심으로 주담대 금리가 연 3%대로 진입하면서 특례보금자리론의 금리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주금공은 오는 3월부터 매달 시장금리 및 재원 상황 등을 감안해 기본금리를 조정할 계획인데, 주택저당증권(MBS) 발행금리 등을 감안하면 추가로 금리를 인하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상품 출시 불과 한 달 만에 다시 금리를 인하할 경우 기존 신청자들의 불만을 불러올 수도 있다.

특례보금자리론은 중도상환하지 않는 한 신청 당시 금리가 만기 때까지 적용된다.

일각에서는 특례보금자리론 목표를 모두 채울 경우 공급을 확대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금융당국은 아직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pdhis959@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