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이슈 로봇이 온다

말동무에 배설보조도…정부, 고령사회 대비 '돌봄로봇' 주목(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재부, '고령화와 돌봄로봇' 브라운백 세미나 개최

"75세 이상 절반은 장애 가져…'케어기버'도 60대"

큐라코·효돌 대표 참석, 제품 및 국내외 현황 소개

최상대 차관 "기술 고도화, 공적 한계…민간 투자 必"

[세종=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고령화 시대에 대비하는 정부가 ‘돌봄로봇’에 주목하고 있다. 돌봄로봇은 노인, 경증 치매환자, 중증장애인 등 다양한 이유로 홀로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보조한다. 기획재정부는 이를 우리 경제의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고 미래 먹거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대안으로 평가했다.

이데일리

최상대 기재부 2차관. (사진=기재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재부는 13일 ‘고령화와 돌봄로봇: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브라운백 세미나를 개최했다. 신산업·신시장 분야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위해 기획된 이 행사에는 최상대 기재부 2차관을 비롯해 직원 70여명이 참석했다.

한국의 고령화 추세는 가파르다. 통계청에 따르면 사회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중은 2017년에 14%에서 지난해 17.5%로 늘어났고, 2025년에는 20%대에 진입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2050년에는 1인 가구의 51.6%가 고령층에 해당될 전망이다.

돌봄로봇은 이런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노인돌봄 부담을 완화하고 돌봄인력의 노동생산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받는다. 해외의 관심도도 커지고 있다. 일본은 돌봄로봇을 의료기기가 아닌 복지용구로 구분해 제조·판매의 인허가를 완화했고, 유럽은 ‘그로미업’(GrowMeUp)이라는 EU 차원의 프로젝트를 통해 돌봄로봇을 개발 중이다.

이날 세미나에 연사로 참석한 송원경 국립재활원 박사는 “나라가 잘 살든 못 살든 사람이 75세 이상이 되면 그중 절반은 장애를 갖게 된다”면서 “우리나라는 생산가능인구 대 고령자 비율이 1:1이 될 때까지 30년께 밖에 남지 않은 만큼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요향보호사나 간병인 등 ‘케어기버’들의 나이도 평균 60대 초반으로 나이가 많다는 게 문제”라고 덧붙였다.

1960대부터 시작된 우리나라의 로봇개발은 2000년대 초반에 들어서야 치료재활용으로 본격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2017년부터는 산업부, 복지부와 손잡고 돌봄로봇 개발을 위한 우선 분야를 선정해 진행했다.

한국 정부는 2019년부터 사업 지원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돌봄로봇 공통제품 기술개발(2021년까지)과 146억원, 중개연구 및 서비스모델 개발(지난해까지)에 총 209억원 투입했고, 올해부터는 사회적 약자 자립지원 로봇 기술 개발(2026년까지)과 수요자 중심 돌봄로봇·서비스 실증(2027년까지)에 각각 240억원과 272억원을 들일 계획이다.

송 박사는 “코로나19 사태을 통해 축적한 경험을 토대로 2027년까지 대상자를 보다 중증 위주로 확장하고 기술도 9종까지 확대할 예정”이라며 “시범보급이나 교육훈련 관련해 지자체, 시설, 국공립기관 등과 연계된 정부 지원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돌봄로봇 2개 업체는 이 자리에서 제품을 시연하고 제품개발, 국내 보급 및 해외시장 진출 등에 관한 현장의 의견을 전했다.

배설로봇을 개발해 국내는 물론 일본, 미국에 진출한 큐라코의 이훈상 대표는 “고령사회를 지탱하려면 간병이 반드시 필요하고, 그중에서는 배설간병이 압도적으로 부담이 크다”면서 “배설간병 해결하면서 돌봄로봇이나 관련 연계해서 플랫폼 비즈니스로서 성장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반려로봇을 개발·보급하고 국내외 연구를 진행 중인 효돌의 김지희 대표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를 강조했다. 이는 노인들이 자신들이 집을 떠나지 않고 그간 속했던 지역 사회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는 “국가 재정을 위해서도 노인의 독립적 주거는 주요 해법”이라며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제품을 개발했고, 오는 9월에는 쌍방향 챗봇을 적용한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알렸다.
이데일리

26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2 로보월드’에서참관인들이 치매예방 인지훈련 로봇과 돌봄로봇 시연을 지켜보고 있다. 이번 행사는 12개국 220여개 기업·연구기관이 참가해 제조업용 로봇과 서비스로봇, 의료·재활로봇, 국방로봇을 비롯해 퍼스널모빌리티와 무인기, 드론 등 다양한 분야의 로봇 신기술을 선보인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상대 기재부 2차관은 “전 세계적 고령화로 ‘제론테크’(Gerontech·노인을 위한 과학기술) 관련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되는 상황”이라며 “돌봄로봇 분야가 고령화라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위기 대응에 기여하는 동시에,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센서·머신러닝 등 연관된 4차 산업의 활성화도 견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컨셉은 모두 갖춰진 것 같지만, 기술이 더 고도화돼 사람들의 기대 수준에 근접하기 위해서는 공적 영역에서는 한계가 있다”면서 “대기업이 자율주행차 개발에 역점을 두듯 민간에서 대규모 자본을 투자해 발전한다면 우리 생활과 함께 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