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과 폐경 여부 따라 큰 차이
대사 질환 예방, 생활습관 관리를
제2형 당뇨병 발병을 부추기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폐경 전 젊은 여성에게서 가장 위험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이 제2형 당뇨병의 주요 위험 인자라는 사실은 기존 연구를 통해 잘 알려졌지만, 성별과 폐경 여부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보고된 바가 없었다.
흔히 지방간이라고 하면 애주가 질환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최근에는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률이 늘고 있다. 제2형 당뇨병은 어떤 이유로 몸의 인슐린 저항성이 커지면서 인슐린 작용이 원활하지 않아 고혈당과 상대적인 인슐린 분비 장애가 생기는 질환이다. 지방간이 심하고 인슐린 저항성이 높은 사람은 당뇨병 등 여러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다고 알려진다.
강북삼성병원 데이터관리센터 류승호·장유수·김예진 연구팀은 2011~2018년 건강검진을 받은 비당뇨 성인 24만5054명을 성별과 폐경 여부에 따라 남성(13만286명), 폐경 전 여성(10만9810명), 폐경 후 여성(4958명)의 세 그룹으로 나눴다. 그런 다음 이들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무에 따라 비교분석 및 5.3년간 추적·관찰했다.
━
당뇨병 발생 위험, 일반인의 4.6배
연구결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이 있는 경우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없는 건강한 그룹과 비교했을 때 당뇨병 발생 위험이 폐경 전 여성에서 4.6배, 폐경 후 여성에서 2.7배, 남성에서 2.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 전 여성 그룹에서 당뇨병의 상대 위험도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이런 결과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중증도가 높을수록 더욱 두드러졌다.
류승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이 당뇨병의 중요한 예측 인자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상대적인 영향이 성별과 폐경 여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밝혀냈다”며 “효과적인 당뇨병 예방과 관리를 위해선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무에 따른 성별 간 차등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장유수 교수는 “최근 서구적 식습관, 신체 활동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젊은 성인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에 저위험군으로 분류했던 젊은 여성 역시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을 경우 당뇨병 발생에 대해 안심할 수 없다”며 “젊은 여성 역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비롯한 대사 질환의 조기 예방을 위해 생활습관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간학회 저널(Hepatology)에 게재됐다.
김선영 기자 kim.sunyeong@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