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골 또 출토 기존 고분 인골과 비교…마한인 신체 특질 분석
옥야리 고분군 전경 |
(영암=연합뉴스) 조근영 기자 = 전남 영암군은 2일 마한시대 규명의 열쇠를 쥔 옥야리 고분군'에 대한 발굴조사 지도회의를 열었다.
군은 복원 및 정비와 사적 지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 문화자원으로 폭넓게 활용하기 위해 옥야리 고분군 일대에 대한 추가 발굴조사를 했다.
지난 12월부터 진행된 이번 17호분 발굴조사 결과 옹관묘 7기, 목관묘 1기, 매납토기 6기, 인골, 유공광구소호, 장신구, 이식, 금속제고리 등이 확인됐다.
옹관묘는 목관묘 옆으로 대부분 남북방향으로 'U'자형의 대형옹관을 이용해 합구식으로 횡렬 안치된 형태로 발견됐다.
봉분 내에서 인골이 출토됨에 따라 인골에 대한 과학적 분석(DNA, 탄소동위원소 측정, 절대연대 측정 등)을 통해 고대 마한인의 유전적 특질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군은 기대했다.
앞서 확인된 19호분의 출토 인골과의 비교를 통해 고분 간의 친족관계를 유추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대 마한의 대형고분은 '아파트형고분'이라고 불린다고 해, 고분(분구)에 석실묘, 석곽묘, 옹관묘, 토광묘 등 여러 개의 매장시설이 다장(多葬)되는 특징을 지닌다.
출토되는 유물은 금동관모, 금동신발, 환두대도, 마구류와 유공광구소호와 같은 토기류, 다양한 재료와 색상을 지닌 옥류 등으로 당시 사회의 권력과 부를 상징하는 물건들이 부장된 양상을 보인다.
옥야리 고분군 |
군 관계자는 " 옥야리 17호분 발굴로 얻어진 다양한 자료가 향후 영산강유역 고대인의 생활상을 밝히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영암 옥야리 고분군(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140호)은 4∼6세기 조성된 것으로 마한문화를 계승한 영산강 고대 세력의 핵심 거점 중 한 곳으로 지목된다.
옥야리 고분군 주변에는 당시 최고 권력층 내지 귀족층의 무덤인 영암 내동리 쌍무덤, 옥야리 방대형고분, 신연리 고분군 등이 분포하고 있다.
옥야리 고분군과 영암 일대의 방대형고분 간 비교를 통해 각 고분 간의 선후관계, 혈연관계, 지위관계와 당시의 문화 등을 규명하고 마한의 중심지로서 그 역사를 밝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hog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